논문 상세보기

풍선덩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성분 분석 KCI 등재

Antioxidant Effect and Component Analysis of Cardiospermum halicacabum Leaf Extra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046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풍선덩굴 잎 추출물 및 그 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평가와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는 풍선덩굴 건조 잎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수율은 16.4, 0.9 및 0.3%로 나타났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SC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92.5 μ g/mL)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대조군인 (+)-α -tocopherol의 FSC5은 8.9 μ g/mL이었다. Fe3+-EDTA/H2O2계를 이용한 활성산소 소거활성(총항산화능, OSC50)은 아글리콘 분획(4.2 μ g/mL)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인 L-ascorbic acid (1.5 μ g/mL)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1O2로 유도된 사람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측정에서 풍선덩굴 잎 추출물 및 분획 은 모두 농도 의존적(5.0-25.0 μ g/mL)으로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다. 추출물/분획물 중에서 아글리콘 분획 (τ50, 76.4 min)이 가장 큰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TLC, HPLC, LC/ESI-MS를 이용하여 풍선덩굴 잎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하여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pigenin-7-O-glucuronide, apigenin-7-glucosdie 및 quercitrin hydrate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 들은 풍선덩굴 잎 추출물 또는 분획이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effect and component analysis for extract and fractions of Cardiospermum halicacabum leaf were investigated.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50%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btained from dried C. halicacabum leaf. The yields of extract and fractions were 16.4, 0.9 and 0.3% per dried powder, respectively. DPPH (1,1-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SC50) of ethyl acetate fraction (92.5 μg/mL) was the great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ut lower than (+)-α-tocopherol (8.9 μg/mL). I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total antioxidant capacity, OSC50) on ROS generated in Fe3+-EDTA/H2O2 system, aglycone fraction (4.2 μg/mL) was the highest total antioxidant capacity and similar to L-ascorbic acid (1.5 μg/mL).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C. halicacabum leaf extract and fractions on the 1O2-induced cellular damage of human erythrocytes were exhibited at all concentration-dependent (5.0-25.0 μg/mL). Especially, aglycone fraction (τ50, 76.4 min) in 25.0 μg/mL showed the most protective effect among extracts. Component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btained from C. halicacabum extracts were analyzed by TLC, HPLC chromatogram and LC/ESI-MS. Results showed that the ethyl acetate fraction contained some flavonoids, such as apigenin-7-O-glucuronide, apigenin-7-glucosdie and quercitrin hydr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s and fractions of C. halicacabum leaf may be applied as antioxidant functional cosmetic raw materials.

저자
  • 정효진(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Hyo Jin Jeong
  • 김아랑(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Rang Kim
  • 이건수(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Keon Soo Lee
  • 박소현(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So Hyun Park
  • 신혁수(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Hyuk Soo Shin
  • 이상래(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Sang Rae Lee
  • 송바름(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Ba Reum Song
  • 이윤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Yun Ju Lee
  • 안현진(여명바이오켐) | Hyun Jin An
  • 이재덕(여명바이오켐) | Jae Duk Lee
  • 박수남(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Soo Nam Park 주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