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울진군 죽변의 암반조간대에서 2년(2015-2016)간 계절별 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분포양상을 분석하였다. 죽변 암반조간대의 종조성은 5문 41종으로 자포동물 4종, 연체동물 19종, 환형동물 3종, 절지동물 13종, 극피동물 2종이 출현하였으며, 총개체수 1,642 inds./m2, 총생체량 1,959.42 gWWt/m2 조사되었다. 조간대 상부는 조무래기따개비(Chthamalus challengeri), 좁쌀무늬총알고둥(Nodilittorina radiata)이 우점하였다. 하부는 지중해담치(Mytilus galloprovincialis), 배무래기(Nipponacmaea schrenckii), 구멍밤고둥(Chlorostoma turbinata)이 우 점하였다. 계절별 우점종의 경우, 조간대 상부에는 겨울과 봄에 조무래기따개비, 여름과 가을에 좁쌀무늬총알고둥이 우점하였다. 조간대 하부는 전 계절에 걸쳐서 지중해담치가 우점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생물군집의 분기별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이들 지역은 세 개의 그 룹으로 구분되었다. 조간대 하부의 2015년 11월, 2015년 8월, 2016년 2-8월의 Group A와 조간대 하부의 2016년 11월, 2015년 5월의 Group B, 2015년-2016년 조간대 상부의 Group C로 구분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at the intertidal zone of Jukbyeon in Uljin-gun during 2015-2016. The number of species were total 41 from 5 phyla. The species composition of Cnidaria 4, Mollusca 19, Annelida 3, Arthropoda 13, Echinodermata 2 and the individuals was 1,642 inds./m2 and the weight was 1,959.42 gWWt./m2 in the study area. The dominant species of the upper zones were Chthamalus challengeri and Nodilittorina radiata. Those of the lower zones were Mytilus galloprovincialis, Nipponacmaea schrenckii and Chlorostoma turbinata. The dominant species of the upper zones of winter and spring were C. challengeri, the summer and autumn of the N. radiata. Those of the lower zones were all seasonal of M. galloprovinciali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ose regions were divided in three groups, which were a group A of December 2015, August 2015 and February to August 2016 of intertidal zone lower, group B of December 2016 and May 2015 of intertidal zone lower, group C of intertidal zone up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