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Changes of Near Phoria Before and After Wearing Smart Glasses KCI 등재

스마트안경프레임 착용 전후의 근거리사위 변화에 대한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18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스마트안경프레임 착용 전후의 근거리사위를 비교해 스마트안경프레임이 사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고자 한다. 방법 : 양안시기능이 정상이고 전신질환이나 안질환이 없는 교정시력 1.0 이상, 단안교정시력 0.9 이상의 동강대학교 안경광학과 학생 남녀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위검사는 반 암실, 약 80Lux를 유지하고 스 마트안경프레임 착용 전후의 사위상태를 살펴보았다. 피검사자의 우안에 마독스봉, 좌안 40 cm앞에 펜라이 트를 비춘 상태에서 피검사자에게 점광원불빛과 선조상이 보이는지 묻고 불빛과 선조상이 일치할 때를 기록 하였다. 결과 : 피검사자 55명 중 정위 15명(27.27%), 외사위 35명(63.64%), 내사위 3명(5.45%), 수직사위 2명 (3.64%)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안경프레임 착용 전후의 변화는 전체 55명 중 정위를 보인 15명 중 5명이 스 마트안경프레임 착용 후 +2.80±1.30△으로 유의하게 내사위로 나타났고(p<0.05), 정위 15명 중 7명은 1.14±1.48△으로 수직사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외사위는 스마트안경프레임 착용 전에는 -7.26±4.78△에서 -6.16±4.87△으로 외사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내사위는 +3.33± 2.52△에서 +4.33±0.58△으로 내사위가 증가되었지만 그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수직사위는 0.75±0.35△에서 +2.50±0.70△으로 수직사위는 증가되었지만 그 변화는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 결론 : 증강현실을 보여주는 스마트안경프레임의 착용은 기존에 사위를 가지고 있는 사람 뿐 만 아니라 정위를 가진 사람에게도 내사위와 수직사위를 유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art glasses on near phoria by comparison of the changes of near phoira before and after wearing smart glasses. Methods: Fifty fiv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DongKang College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rticipants showed normal binocular vision, corrected vision of 1.0 or above, monocular vision of 0.9 or above, and no systemic disease and eye disease. Phoria test was performed under the semi-dark room of approximately 80 Lux, illuminating the maddox rod on the right eye of an examinee, and illuminating penlight at 40cm on the left eye. First, an examinee was asked if they can see a point light source and a longitudinal light. When they mentioned the two lights were matchedthe result was recorded. After moving the point light source and the longitudinal light away, we recorded the figures when the point light source and longitudinal light matched again. Results: Of 55 examinees, it was appeared that 15 people(27.27%) were orthophoria, 35 people(63.64%) were exophoria, 3 people(5.45%) were esophoria and 2 people(3.64%) were vertical phoria. Fifteen of them with orthophoria appeared esophoria of +2.80±1.30△ after wearing smart glasses(p<0.005), and seven did vertical phoria of 1.14±1.48△(p<0.005), showing that these figures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Before wearing smart glasses, exophoria was decreased from -7.26±4.78△ to -6.16±4.87△ (p<0.005). Esophoria was increased from +3.33±2.52△ to +4.33±0.58△, whereas the chang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Vertical phoria was increased from 0.75±0.35△ to +2.50±0.70△,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p>0.05). Conclusions: It would be considered that wearing smart glasses showing augmented reality contribute to esophoria and vertical phoria to those withorthophoria as well as those with esophoria.

저자
  • Min-Hwa Yoon(동강대학교 안경광학과) | 윤민화
  • Young-Sun Choi(전남대학교 의공학협동과정) | 최영선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