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산-김해 강우조건이 낙동강 유역 하구둑 실방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san-Gimhae Precipitation Conditions on the Real Barrage Discharge in the Nakdong River Bas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19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둑 방류 특성 분석시 정도 높은 기상 자료를 선정할 목적으로 부산과 김해간의 기상자료(강우량 등) 와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을 상관 비교하였다. Tank model을 통해 부산 및 김해의 강우량/증발량 자료를 바탕으로 하천유출량을 산출 하고 낙동강 하구둑의 실제 방류량 자료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부산의 강수량과 평균 운량이 김해 지역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마찮가 지로 부산의 강수량을 사용한 추정하천유출량이 김해의 강수량을 사용한 추정하천유출량보다 다소 컸다. 이상의 결과는 낙동강 유역의 하천유량을 산정함에 있어 기존 부산의 기상자료를 사용할 경우 산정되어진 하천유출량은 실제 김해지역의 결과보다 과대평가될 소지 가 있음을 의미한다.

To obtain more accurate meteorological data for analyzing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ase barrage discharge observed during the 13-year period from 1996 to 2008 and calculated the differences using meteorological data for the Busan and Gimhae weather stations. The river discharge estimated using a tank model was compared to the real river barrage discharge. We discu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charge and the meteorological factors that affected the estuary water environment. This study found that the total annual discharge from the Nakdong River barrage (basin) for the 13 years was 272,653.3 × 106 m3. The largest monthly mean release discharge occurred in July at 73,212.9 × 106 m3 (26.9% for the year), followed by August and September in that order with 22.0% and 18.9%, respectively.

저자
  • 윤한삼(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Han-Sam Yoon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Development(RCOI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윤창호(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Chang-Ho Yoon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유창일(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Chang-Ill Yoo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Development(RCOI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박정현(부경대학교 해양산업공학(협)) | Jung-Hyun Park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Ocean Industri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