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靖獻· 哀悼· 自癒의 ‘지리산 인문학’ 試論 KCI 등재

Modern Literature of Mt.Jiri Region and 'Mt. Jiri Human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2340
  • DOIhttps://doi.org/10.14381/NMH.2017.53.03.30.2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그간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은 ‘지리산권 문화 연구’를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수 행해 왔다. 현대문학 분야에서는 ‘지리산’에 함축된 ‘근대성’을 규명하기 위해 ‘기행(탐험, 여행, 관광 등)’에 초점을 맞춰 일제 강점기의 기행문학 등을 대상 으로 지리산의 근대적 표상을 다각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르포‧소설‧희곡‧시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분석하여 지리산에 얽힌 역사적 상흔과 그의 문학적 대응 양상을 면밀하게 논구해 왔다. 본고는 기왕의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 성과를 집약하고, 지리산권 현대 문학의 특징과 의의를 종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試論的 논의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지리산이 전근대시기에는 둔세자의 피난처이자 민중의 도피처였으며, 근대 이 후에는 남과 북이 대립했던 이데올로기 戰場이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지리산을 배경으로 창작된 여러 문학 작품에 함축된 주요한 인문학적 사유와 태도 등을 靖獻 意識과 哀悼 倫理, 그리고 自癒 意志로 나누어 논구하였다. 정헌 의식이란 현실 정치와 거리를 두는 탈정치적 태도를 견지하면서도 학문 적·사상적 신념을 고양하고, 이를 통해 도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의식을 일컫 는다. 김택술과 이은상의 기행문학, 그리고 󰡔지리산󰡕의 중심 인물인 박태영에 게서 이와 같은 정헌 의식이 나타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근대 이후 지리산에서 죽어간 ‘만혼령’에 대한 문학적 애도 작업은 일찍이 70 년대 지리산 소재 시편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만혼령’을 존재론화‧의미론 화하는 상징화-애도 작업은 ‘國史로부터의 伸冤’과 ‘대문자 역사로의 기입’이라 는 두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이성부와 송수권의 시편 에서 ‘지리산 만혼령’이 다시 출현하게 되는데, 그의 ‘비탄’과 ‘피울음’이 ‘만혼 령’에 대한 충실한 기억을 목표로 하는 哀悼 倫理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고찰하 였다. 분단과 전쟁은 ‘지리산 만혼령’을 출현시켰을 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자들에 게도 깊은 상흔을 남김으로써 그 후과는 또다른 비극의 맹아로서 상존하고 있 다. 이러한 후과는 우연적으로 혹은 운명적으로 해소되거나 극복될 수 없는 것 이다. 여러 작품들이 반목·불신·원한·증오를 넘어 화해와 용서를 향한, 자성·고 백·참회·공감·생명 존중이라는 자발적이고 자각적 행위, 즉 自癒 意志를 역설하 고 있음을 검토하였다.

Center for Mt. Jiri Region Cultural Studies have conducted a wide range of studies on 'Mt. Jiri region cultural studies'. I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the center focused on the 'travel (exploration, journey and tourism)' and investigated the modern representation of Mt. Jiri based on travel literatures during the Japanese annexation period to investigate the implied 'modernity' of 'Mt. Jiri'. They also meticulously studied the historical events and the corresponding literary response with respect to Mt. Jiri with various works in various genre including reportage, fiction, drama and poetry. This paper is an introductory discussion to integrate research performances based on previous discussions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Mr. Jiri region modern literature. For this,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Mr. Jiri was a shelter for hermits and a hideout for the people during the premodern period and a battlefield of ideology where the North and South confronted each other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divided the key characteristics of various works on Mr. Jiri as ‘consciousness of silent fidelity’(靖獻 意 識), ‘mourning ethics’(哀悼 倫理), ‘selfhealing will’(自癒 意志) and studied them separately. In chapter II, this paper promotes academic, ideological and ethical principles while maintaining an apolitical attitude, and through it, establish the fidelity to secure morality as ‘ consciousness of silent fidelity’ and contemplated the definite expression of such silent fidelity in travel literatures by Taeksul Kim and Eunsang Lee, and 「Mr. Jiri󰡕 by Byeongju Lee. Chapter III examined the start of symbolism and morning for the 'ghosts of Mt. Jiri' based on the analysis of poetries on Mr. Jiri and the forms of general classification of such works in the 80's and 90's into 'rehabilitation of national history' and 'registration of History'. Later, in 2000's, the 'ghosts of Mt. Jiri' remerge where they clearly connote the clear rejection of the 'violence' of symbolism and morning of the past and it was established that they originated from the morning ethics that targets sound memories of the 'ghosts of Mr. Jiri'. In chapter IV, it was discussed that, through sequential analysis of various works on the division of country and aftereffects of war, these works emphasized on mutually voluntary and conscious acts such as self-reflection, confession, repentance, sympathy and respect to life, in other words self-healing will, for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저자
  • 박찬모(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 Park, Chan 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