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야담 전문잡지 󰡔月刊野談󰡕・󰡔野談󰡕의 운영과 작가층의 구성 양상 KCI 등재

Magazine Operation and Composition Aspect of Authors of 󰡔Monthly Yadam󰡕 and 󰡔Yadam󰡕36)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2349
  • DOIhttps://doi.org/10.14381/NMH.2017.53.03.30.20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한국 서사문학사에서 주목할 만한 양식의 하나인 조선후기 野談은 조선전기 筆記 양식의 성립과 함께 시작되었다. 야담은 見聞의 기록을 특징으로 삼는 필 기가 하층 서민들의 구전서사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다양하면서도 독특한 인물군상의 욕망에 얽힌 서사에 주목함으로 써 성립한 양식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후 야담은 근대를 겪으며 계몽을 위한 야담대회로 거듭났으나 식민지 현실에서 사회운동으로서의 의식성은 상실한 채 윤백남의 󰡔월간야담󰡕과 김동인의 󰡔야담󰡕 양대 잡지로 발간되며 대중들의 오 락물로서 통속화되고 말았다. 그렇지만 두 야담 잡지는 공히 5년을 넘는 오랜 기간 존속하며 우리나라의 전 설, 逸話, 野史, 야담은 물론 조선 말기와 근대 초기의 비사들을 집대성하는 결 과를 얻어 내었다. 이는 잡지라는 근대 언론매체의 힘을 빌린 전근대 야담의 전 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의 서사물까지 소개하였다는 점에서 동아시아 서사를 수용하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소 재를 수집하고 이를 다시 근대 잡지의 성격에 맞게 윤색할 수 있는 작가를 요청 하면서 1930, 40년대 야담 작가군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때 야담 작가들은 다 양한 소재의 발굴에 따른 개작, 윤색, 창작을 통해 저마다의 성격을 성취하였고, 식민지 성격의 변화와 함께 잡지의 운영에 맞춘 변모 양상을 보여주었다. 본고 는 이를 통해 야담 작가군이라는 식민지 시기 새로운 면모의 문학 현상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Yadam in late Joseon dynasty which is one of noticeable forms in the history of Korean narratives began with establishment of writing for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Yadam can be defined as a form that was established as writing which is characterized especially by the record of experience started to have interest in oral narratives of people of lower classes and paid attention to the narratives involved in the desire of various and unique groups of person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chan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Since then, yadam underwent modern times and was reborn as a yadam contest for enlightenment, but lost its perception as a social movement in the reality of colony and was published as two prominent magazines of Yun Baek-nam’s 󰡔Monthly Yadam󰡕 and Kim Dong-in’s 󰡔yadam󰡕 and was popularized as amusement for the general public. However, two yadam magazines continued to exist for a long period of time of over 7 years and obtained a result of compiling all the secret histor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early modern times as well as legends, anecdotes, unofficial histories and yadam of Korea. The foregoing can be understood as conversion of premodern yadam enlisted the aid of modern media of a magazine. The magazines also performed a role of embracing narratives of East Asia in the way that they even introduced yadams of China and Japan. During the process, they were able to form a group of yadam authors in the 30s and 40s by collecting various materials and asking authors capable of embellishing the material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magazines again. At the time, each yadam author achieved one’s characteristic ranging from adaption, embellishment to creation as a result of discovering various materials, showing an aspect of transformation suited to operation of a magazine together with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 of colony. Through the aforementioned, this manuscript was able to confirm a literary phenomenon of a new aspect titled group of yadam authors in the colonial period.

저자
  • 신상필(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 Shin, Sang Ph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