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 중‧후기 함양 개평리의 역사 변천과 의미 KCI 등재

The historical transition and meaning of Hamyang Gaepyeongri in the Middle·late Choson peri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2356
  • DOIhttps://doi.org/10.14381/NMH.2017.53.03.30.13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글은 조선 중·후기 介坪里의 역사 변천을 일두 정여창과 사회·경제적 변화 에 초점을 맞추어 구명한 것이다. 먼저 개평리의 역사에서 상징적인 인물인 정 여창의 증조부 정지의, 조부 정복주, 아버지 정육을의 행력을 고증하여 가전 자 료의 오류나 윤색 부분을 구명하였다. 정여창의 행력은 조카 정희삼이 행장으 로 정리하였으나 1550년의 시점에서도 그에 대한 자세한 행적이 널리 알려지 지 않았음을 구명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1552년에 개암 강익이 주도한 사우 창 건은 의미가 크다. 그리고 1570년 5월에 이르러 정여창에 대한 국가의 포증은 대체로 마무리 되었다. 이와 함께 정수민이 수집하여 정구를 통해 찬집한 󰡔文獻 實紀󰡕는 사림세력의 구심점으로서의 정여창의 위상 정립과 제고의 근거였다는 점에서 개평리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문헌이다. 다음으로 1608년(광해군 즉위년)에 대동법이 경기도에 처음으로 시행되고, 山郡인 함양도 1662년(현종 3)에 그 대상이 되었다. 이로써 개평리의 상민들은 호세로서 대동세를 포목으로 납부하였다. 개평리의 사족과 상민들은 17세기 중 엽의 庚辛大飢饉과 전염병의 유행이라는 사회·경제적 조건의 악화, 1728년 정 희량 사건에 의한 정치적 혼란 등으로 불안정한 형편에 처하였다. 더구나 18세 기 중엽 이후 환곡의 폐단은 개평리를 비롯한 함양지역 상민들의 삶을 매우 열 악한 상태로 밀어 넣었다. 대체로 1790년대를 기점으로 극심한 환곡의 폐단에 서 벗어났으나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지나치게 높게 책정한 田稅木價로 인한 농 민의 불만이 점점 쌓여가고 있었다. 개평리에 위치하였던 北倉, 場市, 介坪店 등 은 조선 후기 개평리의 사회·경제적 변동의 양상을 보여주는 역사 현장이며, 육 로 교통의 중심지이자 지역 내 거점의 증거이다. 이와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사 설의 介坪店이 생겨나고 운영되었다. 개평 장시는 조선 후기 5·10일장으로 개 평리가 주변 마을과의 관계에서 사회·경제·문화의 구심점의 역할을 했으며, 개 평리 사족과 상민들의 다양한 삶의 조건들을 상징하는 장소였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history of Gaepyeongri in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The discussion focused on Jeong Yeo-chang's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by recognizing merit and socio-economic change. First, I have confirmed the fact of the Jeong Yeo-chang family. In 1550 Jeong Yeo-chang's career was not widely known. By May 1570, the country's PoJeung to Jeong Yeo-chang was finalized. Jeong Yeo-chang is the symbolic figure of Gaepyeongri. Therefore, the compilation of Munheonsilgi by Jeong Su-min is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Gaepyeongri. In 1662, Daedongbeop was conducted in Hamyang. Gaepyeongri residents also benefited from this. Residents of Gaepyeongri were unstable due to Gyeongsin Daegigeun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and epidemic epidemics and Jeong Hee-ryang case in 1728 and others. Since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Hwangok's evil has become very poor in the Lower Class of the Hamyang area, including Gaepyeongri. From around the 1790's Gaepyeongjeom residents escaped serious Hwangok's evils. However, dissatisfaction of farmers due to land tax formulated excessively high in the 19th century is increasing more and more. Bukchang, Jangsi and Gaepyeongjeom, etc. which were located in Gaepyeongri, are historical sites showing th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of Gaepyeongri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y are the center of land transportation and the base evidence of the Hamyang area. Gaepyeongjeom was born and operated in relation to it. Gaepyeong Jangsi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held every five days from five days a month. As a result, Gaepyeongri played a central role in society, economy and culture in relation to neighboring villages. And Gaepyeong Jangsi was a place symbolizing various living conditions of Gaepyeongri people.

저자
  • 박용국(경상대학교 역사교육과 외래교수) | Park, Yong G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