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바다목장해역에서 일차생산량의 시공간적인 분포파악을 위한 물리 · 생물 결합 모델

Coupled Physical-Biological Model for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rimary Producer in Marine Ranching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28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3,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바다목장해역의 해수 유동모델과 저차생태계 모델을 이용하여 저차생태계의 환경요인의 시공간적으로 변화를 파악하였다. 울진 주변해역에서 POM 모델을 이용하여 4대 분조(M₂, S₂, K₁, O₁)의 조석효과, 바람효과, 수온·염분의 효과, 해류를 고려하여 유동을 계산하였다. 대·소조기의 조류는 평해 남동쪽에서 가장 강한흐름이 나타났다. 잔차류의 크기는 표층, 중층 및, 저층에서 유사한 방향으로 유속 차이는 미약했다. 잔차류의 공간적인 분포를 보면 연안역을 따라 북동향류가 우세하고, 외양에서 흐름보다 연안에서 흐름이 우세하다. 이러한 유동 환경에서의 울진 바다목장 해역에서 저차생태계 모델을 이용하여 NH₄, NO₃, Chl-a, 동물플랑크톤 및 Detitus의 저차생태계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파악하였다.

저자
  • 정욱 | Euk Chung
  • 서호산 | Ho-San Seo
  • 배상완 | Sang-Wan Bae
  • 김동선 | Dong-Su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