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예술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 출신 무용전공자의 인지적 유연성 및 소진감 차이 KCI 등재

Arts and Non-Arts High School Dance Majors from the Difference in Cognitive Flexibility and Burnou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1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대학생의 출신고등학교에 따른 인지적 유연성과 소진감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 있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지도 현장에서 학생 관리에 실증적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들로서 383개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방법은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 론을 얻었다. 첫째, 출신고교별 인지적 유연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예술고등학교 출신자가 일반고등학교 출신자에 비하여 인지적 유연성을 더 크게 지각하였다. 구체적으로 예술고등학교 출신자가 다양성선호유연성과 복잡성선호유연성 모두 일반고등학교 출신자 보다 높았다. 둘째, 출신고교별 소진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예술고등학교 출신자가 일반고등학교 출신자에 비하 여 소진감을 적게 인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deter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dance major university students’cognitive flexibility and exhaustion based on high school backgrounds. Another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empirical resources for student management in dance education. Research subjects are dance majors in four-year universities nation-wide and 383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tudy. The T-test was used to test the hypothetical statistics from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are as follow: (1) The difference found that cognitive flexibility of students from arts high schools were more apparent than that from regular high schools. Students who graduated from arts high schools, in particular, have high regards for diversity preference flexibility and complexity preference flexibility. (2) Another finding from the research proved that arts high school graduates perceived less exhaustion than those from regular high schools.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2. 측정도구
3. 신뢰도와 타당도
4.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연구결과
2.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성소영(단국대학교 무용학과 강사) | Seong, So-Yeong (Dankoo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