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악학궤범』취풍형의 회무 연구 KCI 등재

Study on Chwipunghyeong Hoemu of Aghaggwebeo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3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수록된 조선 초기 <봉래의(鳳來儀)> 정재의 취풍형무(醉豊亨舞) 이동 구조를 정재무도와 통합 비교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악학궤범』에 전하는 <봉래의> 취풍형의 이동은 회무(回舞)이다. 두 대[좌대와 우대]가 서로 마주보고 도는데, 천세장(千世章)에서 부터 시작하여 오엽(五葉)에 이르면 초열[4대 좌우대형]로 선다. 취풍형의 회무는 2대 좌우대형에서 4대 좌우대형으로 변화 할 때이다.『악학궤범』에는 취풍형 회무의 도는 방법을‘상동(上同)’으로 제시하였는데 이 상동은 치화평무의 회무인 ‘좌 사인서향외회(左四人西向外回) 우사인동향내회(右四人東向內回)’를 말한다. 취풍형 회무에서 중 요한 것은 2대 좌우대형에서 초열인 4대 좌우대형으로 설 때 무원(舞員) 8인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동하여 배열하는 가인데 이 기록에서 좌무(左舞)와 우무(右舞)의 도는 방향이 동향과 서향인 것과 도는 위치가 내(內)와 외(外)인 것은 알 수 있지만 초열로 배열하는 과정은 알 수 없다. 『악학궤범』취풍형의 회무 기록을 『조선궁중무용총서7』에서는 좌무와 우무가 서로 마주보 고 돌아 무2인이 짝을 지어 남쪽에서 북쪽으로 들어와 초열로 배열하는 것으로 해석하였고, 국 립국악원에서는 천세장에 사방(四方) 대형을 만들어 우선(右旋)하다가 좌대의 청과 홍, 우대의 홍과 녹이 북대(北隊)에 섰을 때 교선(交旋)하여 동쪽과 서쪽에서 일렬로 들어와 배열하는 것으 로 해석하였다. 이를『악학궤범』과 비교하였을 때 두 대가 마주보고 돈 것과 좌대와 우대의 도 는 방향과 위치가 서로 같았지만 회무를 도는 방향과 횟수 그리고 창사와 초열인 4대 좌우대형 으로 서는 이동노선에는 차이가 있었다. 무엇보다 국립국악원에서는 좌대에 우무가 서고 우대에 좌무가 서는 등 좌대에는 좌무 4인이 배열되고 우대에는 우무 4인이 배열되어야 하는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고 무엇보다도 『악학궤범』<봉래의> 초열인 4대 좌우대형의 무원별 배열위치가 일치하지 않았다. 『악학궤범』에 기록된 대로 취풍형의 회무를 푸는 중요한 단서는 초입배열도에 제시된 무원 별 배열번호이다. 봉래의의 초입배열도에는 좌대와 우대의 무원들 아래 번호가 제시되었다. 취 풍형의 회무를 봉래의 초입배열도에 제시된 무원별 배열번호대로 좌무는 4-3-2-1로, 우무는 4-3-2-1로 각각 차례대로 이동하면 천세장에 교선하여 오호장에 처음의 봉래의 자리로 순조롭게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vement course in Chwipunghyeongmu(醉豊 亨舞) of󰡒Bonglae-ui󰡓(<鳳來儀>) jeongjae of the early Joseon era, based on Aghaggwebeom (『樂學軌範』). A comprehensive comparison and analysis of jeongjaemudo has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According to Aghaggwebeom, the movement in Chwipunghyeongmu of Bonglae-ui is carried out by hoemu(回舞). The two facing daes[jwadae and udae] turn round starting at 󰡒Cheonsejang(千世章)󰡓 through to󰡒Oyeop(五葉)󰡓, and then they stand in choyeol[four facing daes of jwa and u]. Chwipunghyeong hoemu changes the formation from two daes of jwa and u to four daes. Aghaggwebeom says 'sangdong(上同) instead of explaining how to do Chwipunghyeong hoemu. It means turning in the same way as the above, which refers to hoemu of Chwihwapyeongmu, that is,󰡐jwa-sa-in-seo-hyang-oe-hoe(左四人西向外回) u-sa-in-dong-hyang-nae-hoe(右四人東向內回)󰡑. According to that, dancers in jwadae and udae turn to the east toward the inside and to the west toward the outside respectively, but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procedure toward choyeol formation. What is important in Chwipunghyeong hoemu is in what procedure the 8 dancers move and take positions to change the formation. Joseonmuyongchongseo7(『朝鮮宮中舞踊總書7』) reads Aghaggwebeom󰡑s record of Chwipunghyeong hoemu like this: jwamu and umu dancers facing each other turn round in couples from the south toward the north to stand in the formation of choyeol. Meanwhile, National Gugak Center(NGC) reads it like this: at 󰡒Cheonsejang󰡓 is useon(右旋) performed in the formation of sabang(四方), and cheong and hong from jwadae and hong and nok from udae take positions in bugdae(北隊), when dancers from the east and the west move in a line performing gyoseon(交旋). These three sources, Joseonmuyongchongseo7, performance by the NGC of 󰡒Bonglae-ui󰡓 Chwihwapyeong hoemu of the early joseon era, and Aghwaggwebeom, have the same idea about the rounding of the facing two daes and the directions and positions of jwadae and udae, but they disagree with the direction of hoemu and the times of its repetition, changsa, and the procedure to choyeol of four daes of jwa and u. It is noticeable that in the performance by the NGC umu dancers position in jwadae and jwamu dancers in udae, which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 rule of four jwamu dancers in jwadae and four umu dancers in udae and with the arrangement of choyeol of four daes of jwa and u as Aghwaggwebeom records about󰡒Bonglae-ui󰡓. It is commonly acknowledged that Aghaggwebeom is a practical text for further effort in reconstruction and reproduction of court dance. A key to get a correct understanding of Chwipunghyeong hoemu just as Aghaggwebeom records is the individual number for each dancer marked in the drawing of the first entrance. The drawing marked jwamu and umu dancers and kept numbers below it. When Chwipunghyeong hoemu is performed just as the drawing tells like jwamu dancers 4-3-2-1 and umu dancers 4-3-2-1, it is possible to complete a round with gyoseon starting at 󰡒Cheonsejang󰡓 and back to the first position at 󰡒Ohojang󰡓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봉래의>의 정재무보와 공연양상
1.『악학궤범』<봉래의> 취풍형의 회무 기록양상
2. 현행 <봉래의> 취풍형의 회무 무보검토
3. 현행 <봉래의> 취풍형의 회무 공연양상
4. 취풍형의 회무 비교
Ⅲ. 취풍형 회무의 실연을 위한 대안과 보충
1. 취풍형 회무의 생략내용 탐색
2. 취풍형 회무의 실연구조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손선숙(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과 강사) | Son, Seon-Suk (Korea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