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용연구에서 데이터의 생산 및 관리에 관한 연구: ‘실기기반 연구’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f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Data in Dance Studies: based on Practice based Resear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3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무용은 한번 공연을 하면 뜬 구름과도 같이 사라져 버리는 휘발성이 강한 예술이다. 이 순간성을 극복하 는 길은 미약하나마 무용행위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를 기록․생산하고 관리․보존하는 것이다. 그렇게 생산 되고 보존된 데이터는 무용인들에게 공유되어서 창작과 교육 그리고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그러나 다수의 무용가들은 연습실에서 연습을 할 때나 공연을 할 때 이러한 데이터의 구축에 대한 개념이 없는 경우 가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가들에게 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게 하는 것과 창작현장에서 데이터를 생성 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이다. 한국의 무용가들이 창작 현장에서 생성하는 창작데이터의 유형은 일 반 학문의 데이터와는 많이 차이가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무용연구에서 창작데이터의 특성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둘째, 무용가들은 어떻게 창작데이터를 생산하는가. 셋째, 무용데이터의 유형은 어떤 것들이 있나. 넷째, 무용에서 연구․창작데이터는 어떻게 보관․관리되는가. 마지막으로 이런 데이터는 어떻게 공유 되고 활용되는가이다. 무용연구자들이나 안무가들은 작품을 공연할 때 주로 동영상을 촬영하여 자료를 만들 고 그것을 보관하는 정도에서 창작데이터를 관리하고 있다. 다른 학문과는 다르게 ‘실기기반 무용연구’에서의 데이터는 창작자가 이에 대한 개념을 갖고 직접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직접 생산한 창작데이터와 다른 유 형의 데이터의 관리체계를 위해서 이의 장기보존 방식과 활용 방식에 대한 탐구들이 후속연구로 진행될 필요 가 있다.

Once a dance is performed, the intangible art disappears. Dance is a highly volatile and seemingly futile form of art. In order to overcome this temporality, despite the difficulties, it is important to record, produce and preserve data about dance. When shared with dancers and people of the field of dance, this data is used as the basic material used to educate, create and conduct more research. However, the majority of dancers(choreographers) tend not to record practice sessions and performances for later use. The following study explores methods used to produce and manage data that has been collected during creation sessions. Collecting data from creative sessions in Korean dance is not the same as collecting data for other academic fields. Firstly, we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data in dance studies. Secondly, we will see the how dancers can produce creative data. Next, we will look at the form of dance data. Then, the methods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research/creation data will be discussed. Lastly, we will see how this data can be shared and used. Dance researchers and choreographers are often content with filming dance performances as documentation for storing and creative data. As creative data from ‘practice based research in dance’ is different from academic research data, it is important for the creators to conceptualize their own data. In order to manage their own data and other forms of creative data, it is necessary to conduct long term follow-up research about preservation methods and utilization method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무용연구에서 데이터의 특성 및 생산
1. 데이터의 특성
2. 데이터의 생산 및 수집
3. 소메틱데이터 생산
Ⅲ. 무용연구에서 데이터의 유형 및 관리
1. 데이터 유형
2. 데이터 관리
3. 데이터 공유 및 활용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기숙(이화여대 무용과 교수) | Cho, Kisook (Ewha Woma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