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용동작 발현과정에서 호흡과 동작의 연관성 KCI 등재

Relevance of Breathing to Motion in the Expressional Process of Dancing Mo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4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동작 발현과정에서 호흡과 동작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무용전공 20세 이상의 대학생, 대학원생, 안무가 및 무용 지도자 총 184명이 응답하였으 며 총 1,630개의 반응이 도출되었다. 원자료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의 결과, 무용동작 발현과정 에서 경험된 호흡의 무용동작 외적측면은 동작의 연결성(49.8%), 동작의 범위(31.6%), 동작의 정확성(18.6%)의 3개의 일반영역이 도출되었고, 무용동작 발현과정에서 경험된 호흡의 무용동작 내적측면은 표현력(55.5%), 동작의 질적 변화(36.6%), 메시지 전달(7.9%)의 3개의 일반영역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무용동작 발현과정에서 경험된 호흡의 자기 신체적 측면은 무용동작의 수행지속력(51.38%), 집중력상승(41.2%), 신체의 변화(7.5%)의 3개의 일반영역으로 도출되었 다. 이러한 결과는 호흡이 우리 몸속의 에너지를 분출해 내는 원천적인 요소이며, 외형적인 움직임 뿐만 아니라, 무용수의 내재된 감정을 표현해 내는 원리로서 기존에 핵심개념으로 강조되어온 사 실에 경험적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따라서 무용동작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호흡의 사용법과 호흡훈련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evance of breathing to motion in the expressional process of dancing mo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84 including undergraduates, graduate students, dance directors and instructors, who were 20 or older and majored in dancing, and a total of 1,630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them. The inductive analysis of their contents showed that 3 general genres such as continuity(49.8%), scope (31.6%) and accuracy(18.6%) of motions were derived from the external aspect of dancing motions in breathing as experienced in the expressional process of dancing, while 3 general genres were derived from their internal aspect including expressiveness(55.5%), qualitative change in motions (36.6%), transmission of message(7.9%). Lastly, one's own physical aspect in breathing as experienced in the expressional process of dancing was categorized in 3 general genres like continuity of dancing performance (51.38%), increased concentration in dancing(41.2%) and physical change in it (7.5%). From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breathing is a fundamental source of energy spewed out from one's body,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xpressing not only external motions of dancers but also in transforming indwelling feelings to outward expression. It may thus deem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studies on the training method for effective breathing in an effort to bring a dancing motion to an advanced stage of completion.

저자
  • 최재희(전북대학교 무용학과 겸임교수) | Choi, Jae-Hee (Chon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