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호밀 사일리지 제조 시 팽이버섯 수확 후 배지 첨가수준이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 및 건물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Spent Mushroom(Flammulina velutipes) Substrates on the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Digestibility of Rye Sil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8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팽이버섯 수확 후 배지를 첨가하여 호밀 사일리지 제조 시 팽이버섯 수확 후 배지를 에너 지원으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실험이 수행되었다. 공시 사일리지는 출수기의 호밀 에 팽이버섯 수확 후 배지 첨가비율(0%, 20%, 40%, 60%)에 따라 제조하여 6주일간 발효시켰다. In vitro 배양액 제조를 위한 반추위액은 농후사료와 볏짚을 40:60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ula가 시 술된 Holstein 수소 2두로 부터 채취하였다. In vitro 실험은 발효시간대를 3, 6, 9, 12, 24 및 48시간 으로 설정하고, 각 처리구별로 3반복으로 발효특성과 건물소화율을 측정하였다. In vitro 배양액의 pH 는 발효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48시간 경과 시에는 버섯수확 후 배지 60% 첨가 구가 타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미생물 성장율은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 하는 경향이었으며, 발효 48시간 경과 시에는 버섯수확 후 배지 20% 첨가구가 타 처리구에 비해 유의 적으로(p<0.05) 높았다. Gas발생량은 48시간 발효 시에 대조구가 타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 로 높았다. 건물소화율은 버섯수확 후 배지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높았는데, 발효 24시간 및 48시간에 는 R-60구가 처리구 중에서 가장 높았으며(p<0.05), 대조구에서는 전 발효기간 동안 건물소화율이 현 저히 낮은(p<0.05) 상태에 있었다. In vitro 반추위내 발효실험의 결과와 버섯수확 후 배지의 활용성을 고려할 때, 호밀사일리지 제조 시 팽이버섯 수확 후 배지 첨가비율을 원물기준으로 60%수준이 가장 긍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대사시험이나 사양시험을 통하여 가축사료로써의 최적 대체 비율을 규명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다.

The in vitro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nsure the supplemental level of spent Flammulina velutipes mushroom substrates(SMS) as an energy source in manufacturing of rye silage. Rye harvested at heading stage was ensiled with spent mushroom substrates of 0%(Control), 20%(R-20), 40%(R-40) and 60%(R-60) as fresh matter basis for 6week. The rumen fluid for preparation of in vitro solution was collected from two cannulated Holstein bulls fed a 40:60 concentrate:timothy die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3, 6, 9, 12, 24, and 48 hrs of ncubation time with 3 replications. The silages were evaluate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digestibility(DMD) in vitro. The pH of in vitro solution was inclined to decrease with elapsing the incubation time, and that of the R-60 was significantly(p<0.05)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 at 48 hr of incubation. The microbial growth in vitro was inclined to increase with elapsing the incubation time, and that of the R-20 was significantly(p<0.05) greater than the Control at 48 hr of incubation. Gas production was greater(p<0.05) in the Control than the other treatments at 48 hr of incubation.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IVDMD) was higher with increasing the supplemental level of SMS, and was significantly(p<0.05) lower in the Control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throughout whole incubation time. The IVDMD for R-60 was the highest(p<0.05) among treatments at 24 hr and 48 hr of incubation. Considering of above results and the availability of SMS, SMS could be supplemented by 60% in fresh matter basis for rye silage fermentation.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1 공시재료 및 시험설계
  2 In vitro 실험
  3 조사항목 및 조사방법
  4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1 조성분 함량
  2 pH 변화
  3 미생물 성장률
  4 Gas 발생량
  5 In vitro 건물 소화율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강한별(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 농업생명과학연구원,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BK21 program) &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Han-Byeol Kang
  • 조웅기(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 농업생명과학연구원,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BK21 program) &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Woong-Ki Cho
  • 조수정(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약공학과,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Enginnering,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Soo-Jeong Cho
  • 이신자(경상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중점연구소), Department of Animal Bio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and University-Centered Labs)) | Shin-Ja Lee
  • 이성실(경상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중점연구소), Department of Animal Bio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and University-Centered Labs)) | Sung-Sill Lee
  • 문여황(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 Biotechnology,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Yea-Hwang Mo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