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한지역 미사리유형 석기 양상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Misari type Stoneware aspects in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77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미사리유형은 판석부위석식노지에 돌대문토기를 공반하는 청동기시대 문화유형으로 2000년대 초반 조 기의 설정과 관련유적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짐에 따라 학계에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지금까지 미사리 유형 연구는 주거형태, 돌대문토기가 주를 이루었는데 본고에서는 공반하는 석기를 주 연구대상을 삼았다. 먼저 남한지역 전체 미사리유형 유적을 5개 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지금까지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석기연구에 유의미한 속성을 기준으로 형식을 구분한 뒤 단계별 주요 형식을 살펴보았다. 1단계는 편평밑 과 만입도가 크지 않은 둥근밑의 형태를 가지는 무경촉, 장방형의 유공양인석도가 다수를 차지한다. 2단 계는 유병식석검, 유경촉, 무공양인석도가 확인되는데, 석도는 전 단계에 장방형이 주를 이루던 것에 비해 다양한 형태가 확인된다. 이 단계부터 특징적으로 편평양인석부가 나타나며 부리형석기도 관찰된다. 3단 계는 만입도가 크고 세장한 무경촉이 확인되며 유경촉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석도는 무공양인석 도가 소멸하며 유공편인석도가 다수를 차지한다. 편평양인석부는 전단계보다 개체수는 감소하지만 형태 적으로 종단면상 신부와 인부가 이루는 각이 뚜렷해진다. 다음으로 미사리유형 유적이 하안 충적대지에서 소규모로 확인되는바 각 지역의 수계를 기준으로 지역 성을 살펴보았다. 한강본류는 편평밑과 만입도가 크지 않은 둥근밑이 다수를 차지하며, 양인석도만이 확 인된다. 북한강과 남한강은 무공양인석도가 한강본류보다 다소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데, 이는 무공양인석 도가 영서지역의 지역적 특색이 강한 유물임을 보여준다. 금강유역은 이단경촉의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 해 높은 편인데, 이는 미사리유형이 일찍부터 가락동유형과 병존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낙동강유역은 부리형석기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부리형석기는 남한강유역에서도 소수 확인되고 있어 이 지역을 통한 전파를 생각해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미사리유형의 석기는 무경촉과 양인석도가 주를 이루며 이후 편평양인석부가 추가되어 시 ․ 공간적 변화를 통해 전파와 확산과정을 거치면서 각 지역의 재지문화와 병존․흡수된 것으로 판단된다.

Misari type is a culture type associated with Doldaemun pottery on stone floor-stone-lined hearth in the Bronze Age, which began to come to the fore in academia with an investigation on the ruins related to the determination of the early period in the early 2000s. Till now, most studies of the Misari type have been conducted, concerning the types of residence and Doldaemun pottery, and this study took stoneware as the main subject of research. This study first divided the entire Misari type ruins in South Korea into five regions and classified them into three stages based on the properties through which studies of stoneware could obtain significant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ill now. In Stage 1, arrowheads without tang and rectangular biface stone blades with hole, having flat bases and round bases with a low degree of indentation form a large majority. In Stage 2, hilted stone daggers, arrowheads with tang and biface stone blades without hole are observed, so it is judged that polishing of the arrowheads with tang are not even, so stoneware processing technology was not developed yet, and various shapes of stone blades are observed, which were mostly rectangular shaped, in the previous stage. Characteristically, from this stage, flat biface handaxes appear and beak-shaped stoneware is observed, and it is assumed that the Shandong Peninsula may be its origin. In Stage 3, deeply pushed-in and slender arrowheads without tang are observed, and the ratio of arrowheads with tang increases and the division between the neck part and the body part becomes clear. As for stone blades, biface stone blades without hole disappear, and polished stone blades with hole form a considerable majority. The number of flat biface handaxes decreases from the previous stage, but they become more distinct morphologically. Next, Misari type ruins are observed in the River alluvial fans in a small scale, and they were sub-divided based on their basic water system. Flat bases and round bases with a low degree of indentation occupy most of the Han River basin, and only biface stone blades are observed. In Bukhan River and Namhan River, stone blades without a hole show somewhat higher ratio of that in the Han River basin, and it is judged that a biface stone blade without a hole is relic with stro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Yeongseo region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regions. In the Geumgang River basin, the division between the neck part and the body part of a tang with double wings becomes clear, so it is likely that Misari type has long coexisted with Garak-dong type. The Nakdong River basin has a high proportion of beak-shaped stoneware, and a few is observed in the Namhan River basin, too, so it is judged that it went through a process of propagation via these two areas. Like this, the Misari type stoneware mostly consisted of arrowheads without tang and biface stone blades, and later, flat biface handaxes was added.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es of transmission and spread with spatio-temporal changes, it came to coexist and be integrated into the local culture of each region.

목차
Ⅰ.머리말
 Ⅱ. 유적별 석기양상 검토
  1. 경기지역
  2. 영서지역
  3. 호서지역
  4. 영남지역
  5. 호남지역
 Ⅲ. 미사리유형 석기의 변천과 지역상
  1. 미사리유형 석기의 변화상
   1) 단계설정
   2) 단계별 석기의 형식변화
   3) 단계별 석기 조성비
  2. 미사리유형 석기의 지역상
   1) 수계별 석기의 형식변화
   2) 지역별 석기 조성비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박선호(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대학원졸업) | Park Seon 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