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환위계적 적응순환 모델로 본 송국리문화의 성쇠 KCI 등재

The Rise and Fall of Songgukri Culture in a Panarchy Adaptive Cyc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77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송국리문화의 소멸은 여타의 남한지역 고고학적 문화교체와는 그 양상이 다르다. 후속하는 시기인 점토대 토기문화에서 주 생업체계로서 농경의 침체기, 인구감소 및 일시적인 사회복합도의 저하가 나타나는데 이는 농경이 시작된 이래 문화의 교체와 함께 급격한 주 생업방식의 변화(농경활동의 심각한 쇠퇴)가 나타난 거의 유일한 사례이다. 소멸의 주 원인으로 농경의 쇠퇴와 연관하여 환경변화를 주목하지만 대리자료 에서는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설정할 만한 기후의 변화상을 찾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복합적인 인간과 환경의 상호관계의 측면에서 이해해 보고자 환위계적 적응순환 이론의 개념과 순환구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모델을 시범적으로 적용하였다. 미시적 순환으로는 취락의 생성과 성장 그리고 해체과정을 살펴보았고 거시적으로 송국리문화의 전개와 성쇠를 하나의 순환과정으로 놓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 내에서 주기적 기후진동이 미시적 순환을 단절시켜 거시적 순환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 같은 작업을 통해서 기후변수가 송국리문화의 쇠퇴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가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물론 이는 연역적 가설에 불과하므로 향후 이를 입증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시도가 필요할 것이며 앞으로의 과제로 삼도록 하겠다.

Why and how did a society follow the path to the collapse? It is considered to be very difficult to answer despite numerous research on material data and scientific analyses employed. One reason is that the collapse of the society is a byproduct of complicated interactions between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rather than an effect of singular cause. In this paper the theoretical economic structure composed of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environment, and explanations on the processes of its development and decline are reviewed. It is attempted to apply this theoretical concept to the collapse process of mid-Bronze Age culture, Songgukri. The reconfigured system with complexity inherited from the previous cultural system, had spread across the Korean Peninsula by the repeated cycles of establishment of large settlement and dispersion while ahierarchically connected network had been being established. The possible impacts of climatic oscillation are reviewed and it appears that it may have increased the vulnerability of the society through connected subsystems as a result of intensive rice agricultural practice and increased rigidity due to development of complex society. In particular the scale of population of regional network raging from few hundreds to thousands was vulnerable to climatic disasters. Thus it is highly likely that climatic oscillation could cause disturbing the cyclic development of settlement, breaking the regional network. The following consequence was dismantling of the whole society which was facilitated by spread of migrated people with the round rim pottery. After the collapse, the remaining people accepted new culture and reconfigured with the culturally distinguished people, the round rim pottery group.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to Late Bronze Age might have been a result of this reorganization process in a panarchy cycle.

목차
Ⅰ. 서언
 Ⅱ. 송국리문화의 시기별 전개 양상
  1. 송국리문화의 출현기(기원전 10-8세기)와 확산기(기원전 8-5세기)
  2. 송국리문화의 쇠퇴기(기원전 5/4-3세기)
  3. 송국리문화의 소멸기(3세기 이후)
 Ⅲ. 환위계적 적응순환 모델
 Ⅳ. 송국리문화와 환위계적 적응순환 주기
  1. 미시적 순환
  2. 거시적 순환
 Ⅴ. 송국리문화 소멸의 가설
  1. 사회경제적 측면
   1) 사회복합화의 양면
   2) 송국리사회 복합화의 이면
  2. 기후진동
  3.점토대토기집단 이주민과의 관계
 Ⅵ. 결어 - 의의와 한계
 참고문헌
저자
  • 이희진(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Lee Hee Jin (Kore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