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진주 대평리유적 옥방 1지구의 미시적 검토 KCI 등재

A study on the detailed classification to Ok-bang Ⅰ district of Daepyeong-ri archaeological site, Jin-ju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77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청동기시대 진주 대평리유적 중 옥방 1지구를 10개의 권역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충적지에 형성된 유적으로 당시의 생활면이 그대로 잔존하는 곳이다. 옥방 1지구 검토대상구역은 하촌리식주거지 단계, 휴암리식주거지 단계, 송국리식주거지 단계로 구분된다. 휴암리식주거지 단계가 대평리유적의 중심시기이며 세부적으로 세 시기로 구분이 가능하다. 대평리유적의 중심시기는 비파형동검를 패용하고 돌을 이용한 대형묘역지석묘가 축조될 정도의 강력한 지도력이 나타나기 직전이지만 남강 일대 최대의 거점취락이다. 이러한 에너지가 이후 송국리식주거지 단계에 대형 묘역지석묘나 대형굴립주 등이 등장 확산되고 비파형동검을 패용하는 유력개인이 등장하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대상유구(帶狀遺構)는 구와 노지가 결합된 세트로 파악하여야 하며 내부에서 공동 취사가 이루어진 의례 행위의 장소로 파악하였다. 검토대상구역에는 약 28~32세트가 분포한다. 무덤은 25기가 조사되었는데 검토대상구역에는 약 2그룹으로 분리되어 분포한다. 야외노지는 약 30~40기가 분포하는데 개별 주거의 야외 취사시설로 파악하였다. 가마는 대상유구가 폐기된 이후에 전용된 예도 있으며 직경 2m내외의 수혈을 굴착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는데 52기가 분포한다. 굴립주는 8기가 분포한다. 동시기에 10동 내외의 주거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5기의 무덤을 축조하고 5세트의 대상유구에서 의례활동을 하였다. 가마는 개별 주거별로 사용하였고 창고로 이용된 굴립주는 3주거당 1기를 이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송국리문화분포권은 비분포권에 비해 취락에서 개별 가옥의 범위를 벗어난 공동행위가 더 많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It’s reviewed and divided the Ok-bang Ⅰ district in Bronze Age into ten sections. The stratum that lived at the time remains as historical site that it’s formed in alluvial land. It’s divided the Ok-bang Ⅰ district into three steps: - Hachon-ri, Hyuam-ri and Songook-ri dwelling site. The Hyuam-ri step is the center time of the Daepyeong-ri site, the largest base settlement in Namgang River area and also divided into three times in detail. The Hyuam-ri step has been set, just before the appeared strong leadership to own the Liaoning bronze dagger, to built the large boundaries of dolmen as much. The motive would have been a driving force to emerge a leading person who owned the Liaoning bronze dagger in the Songook-ri step that the large boundaries of dolmen, ground or lifted floor building, etc. were spread. The strips of remains should know that the ditch and the fire pot marks were set. It’s identified as a place to hold a memorial service, to cook at a community kitchen in the remains. There were the distribution of 28-32 set within the site. And especially the distribution of the excavated 25 tombs was spread into two groups separate. The outdoor fire pot marks those are distributed about 30 to 40, regarded as an outdoor cooking facilities of individual housing. There was an example that it’s been converted into kiln after wasting the strips of remains. It was also used a hole which it’s dug in diameter of 2M instead of kiln, as many as 52 spots have been identified with 8 ruins those are distributions of the ground or lifted floor building. The inhabitants who live in about 10 houses in the same time, had built 5 tombs, had held the memorial service in 5 sets of the strips of remains. It’s estimated that the kiln was used in individual housing, that’s about 1 ruin that the ground or lifted floor building regarded as warehouses in every 3 houses. There were the corporate action out of range of individual houses in settlement. Compared to the other area, it should be the distribution of the Songook-ri culture in frequent.

목차
Ⅰ. 머리말
 Ⅱ. 충적지의 특징과 유구 조사의 난이함
 Ⅲ. 유구 배치의 패턴과 방향
 Ⅳ. 검토대상지의 구역별 검토
  1. 1구역
  2. 2구역
  3. 3구역
  4. 4구역
  5. 5구역
  6. 6구역
  7. 7구역
  8. 8구역
  9. 9구역
  10. 10구역
 Ⅴ. 대상유구의 특징 및 성격
 Ⅵ. 단계 검토와 중심시기
  1. 주거지별 단계 검토
  2. 대평리유적의 중심시기
 Ⅶ. 취락의 일상
 Ⅷ.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이수홍(울산문화재연구원) | Lee Soohong (The Ulsan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