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현대 시인들의 농촌에 대한 관심과 인식에 대한 연구 : 최근 30년간의 작품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Modern Korean Poets’ Perception of and Affection for Rural Agricultural Area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5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융합인문학회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ing Humanities)
초록

이 논문은 최근의 시인들이 농민과 농업, 그리고 농촌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작품에 표현하는가 에 대한 경향을 탐구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오늘날 한국의 농촌은 갈수록 점점 심각한 상황에 처 하고 있다. 사회적 상황이 악화되면, 제일 먼저 시인의 감각에 포착된다고 말해왔다. 그래서 시인을 두 고 ‘시대의 안테나’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시인들의 작품을 보면 농촌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작품들이 충분하지 않다. 농촌을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곳으로만 생각하면 안 될 일이다. 도시인들의 정 서회복의 장소는 결국 농촌이 될 것인데, 농촌의 환경마저도 결코 건강하지 않은 상황이다. 시인들까지 도 제가 먹고 있는 것들의 근원이 어디이고, 근본이 어떠한가에 대한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사람들을 절 실하게 각성시킬 방법이 없다. 현대시의 논의에서 비평가들은 농민이 직접 쓰는 시를 적극적으로 옹호 하고, 농촌을 소재로 한 시들을 평범한 것으로 취급한다. 이데올로기가 들어있지 않은 ‘농민시’는 강력한 힘을 가지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농촌시’를 평범한 것으로 평가하지 말아야 한다. 소재주의에 빠질 염려가 있다고 해서 ‘농촌시’를 배격해왔는데, 이제는 그런 부류의 시마저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농민시’를 고집하지 말고, 농촌의 현실을 절실하게 각성시킬 수 있는 작품들은 어떤 것이든 소중히 여겨야 할 것이다. 농촌시의 본보기가 될 시인들, 예컨대 신경림, 김용택 등이 있다. 이들의 시를 ‘농민시’ 또는 ‘농촌시’로 한정지을 수는 없다. 이들의 시는 농촌에 대한 관심과 성찰을 갖게 한다. 이들의 시는 ‘농민시’와 ‘농촌시’를 차별하는 않아야 한다는 것을 터득하게 한다. 소외된 농촌에 필요한 이데올로기를 담은 ‘농민시’도 필요하지만, 문학적으로 봤을 때 다양한 시대정신을 가진 ‘농촌시’도 더욱 풍성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much modern poets write about farmers, farming, and rural areas in their works. The current situation in rural areas in Korea is getting worse because of aging and shrinking populations, ecological impacts from toxic chemicals, and cruelty on animals resulting from industrialization of livestock farms. Poets are considered an antenna of an age, because if social problems become exacerbated, these problems will be captured by their perceptions. However, there are not many poems that show affection for rural agricultural areas. This is perhaps because we live in an age of food abundance. Nevertheless, we should not simply consider a rural area as a place for food production. Majority of people are living in cities and urban life can be exhausting and stressful. The countryside can be the last resort that can heal people’s mind, but rural areas are not necessarily healthy. Critics praise poems that are written by farmers, however, they treat poems about rural agricultural areas as generic. They think that without an ideology, ‘peasant poetry’ cannot be powerful. However, considering the aging and shrinking population in rural areas, there are not many people who can produce such poems. We should not treat poetry on rural agricultural areas as ordinary. Poems about rural life have been denounced because of their subject-oriented tendency, but even such poems are not produced enough anymore. Instead of insisting on ‘peasant poetry’, we should cherish any work that can portray the realities of rural areas.

목차
Ⅰ. 드는 말
 Ⅱ. 농민시와 농촌시의 경계
 Ⅲ. 농촌시의 가치와 역할
  1. 농민의 애환 표현
  2. 도시인 정서 회복
  3. 생태사상의 각성
  4. 가축복지의 현장
 Ⅳ. 나는 말
 참고문헌
저자
  • 정종진(청주대학교, Dept. of Korean Lang. and Lit., Cheongju University) | Jongjin 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