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Chang-ae Heo Man-bak(蒼崖 許萬璞)’s Life and the Inner Consciousness in his Chinese Poems
蒼崖 許萬璞(1866~1917)은 진주 지역에서 활동한 한말의 유학자 이다. 武科에 급제하여 잠시 武人으로 살았으나, 외세의 침략과 문란한 정치 현실에 비분강개하여 스스로 관복을 벗어던지고 고향인 진주 지 수 승산마을로 낙향하였다. 그리고 세상을 마칠 때까지 은둔하다시피 하면서 經史를 탐구하고 스승을 찾아다니며 도학을 강론하였다. 본고 는 그 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진주 지역의 한말 유학자 창애 허만박을 주목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허만박의 문집을 토대로 그의 삶을 보다 세밀하게 추적해보고 그 자취를 담고 있는 한시를 검토 분석 하여 그의 내면의식을 따라가 보고자 했다. 52세의 나이로 비교적 짧은 생을 살다간 허만박은 선조들의 행적이 그러하듯 젊어서부터 은거 지 향적 면모를 보이다가 무과 급제 후 관직에 진출해 서울 생활을 시작했 다. 그러나 서울에서 보고 겪은 외세의 침략과 국가적 위기에 그는 절망 하고 스스로 사직하였다. 그리고 고향으로 내려가 승산 마을의 염창강 가에 은둔하면서 도학의 근본 탐구에 골몰하며 절의를 실천하고자 하 였다. 1905년 을사조약의 체결로 인해 스승 송병선을 잃은 허만박은 이후 송병순과 최익현, 전우를 차례로 스승으로 모시며 도학을 강론하 고 자제와 후진 교육에 힘을 쏟았다. 이 시절 그는 상소문과 편지 또는 제문에서 혼란하고 무력한 정치 현실과 일본의 침략에 대해 비분강개 하며 통탄과 憂國의 심정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그와 동시에 거듭되는 집안의 불행으로 위축된 모습과 하루하루 견디는 심정을 표출하기도 했다. 삶의 이력으로 볼 때 그는 폭넓은 교유 관계를 형성하기는 어려웠 던 것으로 보인다. 허만박은 자신이 살았던 智水 勝山 마을의 山水를 대상으로 삼아 시를 많이 지었다. 더불어 인근 주변 지역의 승경이나 또는 자연 속의 구체적인 사물들에 대해서도 시적 감수성을 발휘해 시를 짓는 계기로 삼았다. 물론 한시에 묘사된 산수 자연은 허만박의 삶의 흐름과 그에 따른 정서가 스며들면서 시기에 따라 다른 느낌과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허만박은 자신의 삶 대부분을 아름다운 고향의 산수에서 은둔하 며 조용하게 보냈지만, 당시 나라의 형세가 혼란하고 위급했던 만큼 그에 대한 심정과 감성도 시의 소재나 때에 따라 드러내기도 하였다. 1910년을 전후해 지은 시에서는 나라 잃은 분노와 비통함의 시적 정서 가 점점 고조되고 있었으며, 더불어 체념과 자조적 한탄도 뒤섞여 표출 되었다. 또 현실과 차단한 채 은거의 즐거움만으로 스스로를 위로하는 의식도 담아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ang-ae Heo Manbak(蒼崖 許萬璞(1866~1917)) was a Confucian scholar of Jinju reg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After he passed military state exam(武科), he acted as a military officer(武人) for a while, however he threw off the official uniform and retired to his hometown, Jinju Jisu Seungsan village, resenting foreign invasions and disorderly political situation. Also, lectured moral philosophy, exploring Gyeongsa(經史) and searching teachers through his whole life in seclusion. This research paid attention to Chang-ae Heo Manbak, a Confucian scholar of Jinju regio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hom had not been researched in the meantime. This research intended to trace his life in detail based on his literary collections, and follow his inner consciousness by reviewing and analyzing his Chinese poems that include his life. Heo Manbak, who ended his life at the early age, 52, showed seclusion-oriented aspect since young, as the ancestors did, and started life in Seoul after passing military state exam and being appointed to an official post. However, he despaired with foreign invasions and national crisis that he experienced in Seoul, so he resigned. He returned to his hometown, secluding himself in the riverside of Yeomchang river of Seungsan village, and tried to practice fidelity, immersing himself in the fundamental study of moral philosophy. As he lost his teacher Song Byeongseon due to conclusion of Japan-Korea Treaty of 1905, later, he learned from Choi Ikhyeon and Jeonwoo as his teachers and lectured moral philosophy, training future scholars. During this period, he revealed lamentation and concern about the nation(憂國), resenting disorderly and inefficient politics and Japanese invasions in his appeals, letters, and funeral addresses, at the same time, he showed daunted image due to repeated misfortune of family and his heart of barely managing daily life. To see his life, it seemed hard for him to form a wide social intercourse. Heo Manbak wrote many poems targeting the landscape(山水) of Jisu Seungsan(智水 勝山) village where he lived. Also, he wrote poems of the beautiful scenery of neighboring area or concrete objects of the nature, exerting poetic sensitivity. Of course, the natural landscape in his Chinese poems delivered different feelings and image according to the phase of Heo Manbak’s life, as the stream of his life and emotion were expressed. Though he lived most of his life in seclusion in the beautiful landscape of his hometown, his feelings and sensitivity appeared along with the material of the poem or period, according to the confusing and critical situation of the nation. In his poems written around 1910, poetic emotion of anger and grief for losing the nation was heightened, also, resignation and self-mocking lamentation also appeared. Also, the researcher could confirm that there was a consciousness to console himself only with the pleasure of retirement secluding himself from the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