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으로부터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을 제조하였고 이들 추출물/분획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1,1-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시험법을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루미놀 발광법을 이용한 총 항산화능 및 1O2 소광 효과를 평가하였다.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의 라디칼 소거 활성 (FSC50)은 각각 45.6, 29.8 및 18.0 μ g/mL이었고, 총 항산화능(OSC50)은 4.4, 1.1 및 2.8 μ g/mL이었다.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의 총 항산화능은 수용성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L-ascorbic acid (1.5 μ g/mL)보다 높은 항산 화능을 나타내었다. 1O2 소광 상수 실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글리콘 분획은 비교물질로 사용된 L-ascorbic acid와 유사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1O2으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 손상에 있어서, 그라비올라 잎 50% 에탄 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5-50 μ g/mL)으로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그라비올라 잎 추출 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에 대하여 TLC 및 HPLC를 이용한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에틸아 세테이트 분획에서는 rutin (quercetin-3-O-rutinoside), kaempferol-3-O-neohesperidoside, nicotiflorin (kaempferol-3-O-rutinoside), p-coumaric acid을 확인하였다. 아글리콘 분획에서는 kaempferol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이 항산화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component analysis of 50%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btained from Annona muricata leaf were investigat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perform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ssay,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were estimated using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and 1O2 quenching effects were estimat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SC50) of 50%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were 45.6, 29.8 and 18.0 μg/mL,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OSC50) were 4.4, 1.1 and 2.8 μg/mL, respectively. As a result of 1O2 quenching experiment, ethyl acetate and aglycone fraction showed similar activities to L-ascorbic acid used as a comparative control.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50% ethanol extract on the 1O2-induced cellular damage of human erythrocytes were exhibited at concentration-dependent (5-50 μg/mL). TLC and HPLC were used to analyse components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f Annona muricata leaf. In ethyl acetate fraction, rutin (quercetin-3-O-rutinoside), kaempferol- 3-O-neohesperidoside, nicotiflorin (kaempferol-3-O-rutinoside), p-coumaric acid were identified. In aglycone fraction, kaempferol was identifi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s of Annona muricata leaf have the applicability as antioxidant cosmeceutical ingred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