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efractive statu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yeongsan-si, Gyeongbuk KCI 등재

경북 경산지역 도시와 농촌 초등학생의 굴절상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7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경북 경산시 내외의 초등학생들의 나안시력 및 굴절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시력의 기초자료로 사 용하고자 한다. 방법: 경산교육지원청 주관 ‘밝고 투명한 아이(eye)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2015년 9월-10월 동안 보 건교사가 있는 1개의 초등학교(도시)와 미 배치된 5개의 초등학교(농촌) 총 529명을 대상으로 자동굴절검사 기기를 이용한 굴절이상도 검사, 안경 미착용자의 나안시력과 안경착용자의 교정시력을 측정하여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안경미착용자의 나안시력에서 도시 초등학생들의 시력은 평균 0.79±0.23이며, 농촌은 0.78±0.23 으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두 지역 간의 시력 분포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년별 비교에서는 도 시 초등학생과는 다르게 농촌 초등학생에서만 고학년이 저학년 보다 나안시력이 떨어졌지만(p<0.05), 지역 별 비교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성별에서도 남녀 간의 의미 있는 나안시력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 등가구면 굴절력의 비교에서는 도시 초등학생의 근시가 농촌보다 많은 근시를 갖고 있었다(p<0.05). 안경착용자의 도시와 농촌지역의 평균 교정시력은 각각 0.88±0.20와 0.82±0.21로 도시 초등학생들의 교정 상태가 좋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0.7이하의 미교정 비율은 도시 초등학생들이 농촌 초등학생들보다 오히려 12%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결론: 도시와 농촌의 지역적 특성을 구분한 초등학생 시력과 굴절이상도에 대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스마 트폰 보급의 대중화로 인한 초등학생들의 근거리 작업시간 증가로 초등학생들의 시력변화 특히, 저학년의 근 시증가와 근시도의 가속화에 대한 예방과 사회적 관심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employ the basic data on visual acuity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naked vision and refractive statu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ESC) inside and outside Gyeongsan-si Gyeongbuk. Methods : As part of the project named ‘Making Bright and Clear Eyes’ sponsored by Gyeongsan Office of Education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in 2015, we compared and analysed by regional groups data of total 529 school children on refractive errors using a auto-refractometer, and naked vision of those not wearing glasses and visual acuity of those wearing glasses in one elementary school with a school nurse teacher (urban elementary school, UES) and 5 elementary schools without a school nurse teacher (rural elementary schools, RES). Results : In naked vision of those not wearing glasses, the mean of vision was 0.79±0.23 in UES and 0.78±0.23 in the RES, which is not significant, and also the distributions of vision between two regions were shown little differences. In grade comparison while naked vision of a high grade group was lower than a low grade group (p<0.05) only in RES different from UE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two region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aked vision between gender was found. In comparison of spherical equivalent power, children in UES are myopic much more than those in RES (p<0.05). On visual acuity of those wearing glasses, the means of visual acuity in urban and rural regions were 0.88±0.20 and 0.82±0.21, respectively, showing that refractive correction of those in UES was better, which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rate of under-correction in vision of 0.7 or less, it appeared that children in RES were 12% higher than those in UES. Conclusion : Unlike preceding research on vision and refractive errors of ESC with division of a regional characteristics as two areas, under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time for near work is by far exposed as the use of smart-phone is already popularized, it would be considered social concern on vision care and prevention, and observation of the change in visual acuity of the whole elementary school children, especially to conduct research on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myopes and acceleration of myopic progression in low grade school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참여대상
  2. 검사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지역별 초등학생들의 안경착용 유무와굴절상태
  2. 나안시력 비교
   1) 전체 초등학생
   2) 학년별 및 지역별 비교
   3) 성별 비교
  3. 등가구면 굴절력 비교
  4. 안경착용자의 교정상태
 Ⅳ. 결 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저자
  • Ki-Seok Lee(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기석 Corresponding author
  • Seung-On Park(대경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승온
  • Ji-Won Jung(대경대학교 안경광학과) | 정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