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홍차 흑효모 발효물의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항산화, 미백, 항주 름 효능을 확인하였다. 홍차 흑효모 발효물의 결과는 홍차 추출물, 흑효모 발효물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항산 화능 평가 결과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흑효모 발효물보다 뛰어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홍차 추출 물과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세포 내 활성산소종 실험에서도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유의적 제거 활성을 보였다. 또한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보이며 Melan-a, B16F10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형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항주름 효능 확인을 위해 콜라겐 분해 효소(MMP-1)를 측정한 결과 홍차 흑효모 발효물이 홍차 추출물, 흑효모 발효물보다 높은 항주름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항산화능 효능을 보이며 미백, 항주름 효능을 보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anti-oxidant, whitening and anti-aging effects wer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fermented black tea yeast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The results of Aureobasidium pullulans (A. pullulans) ferment of black tea (AFBT) were compared with black tea (BT) and A. pullulans ferment (A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FBT product showe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higher than that of AF. In the intracellular ROS experiment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the AFBT showed significant decreased activity. In addition, AFBT show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inhibited the formation of melanin using Melan-a and B16F10 cells. Through suppression of MMP-1 expression, the AFBT showed higher anti-wrinkle activity than BT and AF.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FBT showed antioxidant activity and was developed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based o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ica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