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남 신안군 지역의 지하수 수질에 대한 해수의 영향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Seawater Effect on Groundwater Quality, in the Region of Sinan-gun area, Jeonam,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91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기존에 국내에서 지하수에 대한 해수의 영향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다도해상의 도서 지역인 전라남도 신안군의 지하수 수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지하수에 대한 해수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지하수의 현장 수질 측정과 주요 용존성분 등을 포함한 수리지구 화학적 인자를 조사하였다. 총 4회에 걸친 현장 수질 측정 결과, 500 μS/cm 이상의 높은 전기전도도 값을 나타내는 관정은 163개 중 74개로 나타났으며, 용존이온 분석을 통한 Cl−/HCO3− 몰 비로 지하수의 해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심한 영향 및 매우 심한 영향을 의미하는 2.8 이상의 값을 갖는 시료가 74개 중 40개에 해당하였다. 지하수 수질유형의 경우, 직접적인 해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는 Na-Cl 유형과 해수침투에 의한 지하수 진화단계에서 Na-Cl 이전 유형인 Ca-Cl 유형은 암반지하수의 경우 각각 35.3, 44.1%,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경우 52.5, 45%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대수층별 해수의 영향 특성은 각 관정의 해안에서의 거리, 양수량, 조석 등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groundwater quality of Sinan-gun, Jeollanam-do, an island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effect of seawater on the groundwater quality had not been investigated in the past. In order to evaluate its effect, the hydroge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groundwater quality and major dissolved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The water quality was measured four times in the field, and 74 of 163 samples that showed the high conductivity value of more than 500 μS/cm and the influence of seawater on the groundwater were analyzed by Cl−/HCO3− molar ratio. The results showed that, 40 samples out of 74 were found to have a value of 2.8 or more, indicating severe and very severe effects. According to the type of groundwater quality, the ratio of samples belonging to Na-Cl type, which i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the direct seawater, is 35.3% for bedrock groundwater and 52.5% for weathered zone and alluvial groundwater. In the evolution stage of groundwater due to seawater infiltration, the type of Ca-Cl prior to the Na-Cl type is 44.1% in bedrock groundwater and 45% in weathered zone and alluvial groundwater. The effect of sea water on the aquifer is likely to be influenced by distance from the shore, pumped water, and tide.

목차
서 론
 연구지역 및 연구방법
 연구결과 및 토의
  현장 수질 측정 결과
  용존이온 분석 결과
 결론 및 제언
 사 사
 References
저자
  • 신경선(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Kyungsun Shin
  • 이정훈(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Jeonghoon Lee Corresponding Author
  • 고동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생태연구센터) | Dong-Chan K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