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태안해안국립공원 곤충상 및 유류오염 사고에 따른 사질성 곤충상 변동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Faunistic Study of Insects and Arenaceous Insects variation by Oil Spill Accidents of Taeanhaean Nation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91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곤충상에 관한 연구는 1996년 1차 자연자원조사를 시작으로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조사되었다. 조사된 지점은 대부분 해안지역, 사구, 배후초지 등이었다. 채집방법은 포충망을 이용한 채어잡기(Sweeping), 흡충관 (Suction), 함정트랩(Pitfall trap), 야간조사(Light trap), 말레이즈트랩(Malaise trap)을 사용하였다. 총 17목, 215과 1,540종의 곤충상이 확인되었다. 나비목이 가장 큰 점유율을 가진 분류군으로 나타났고(34.2%), 그 뒤를 이어 딱정벌레목 (28.3%), 노린재목(12.7%), 파리목(8.5%), 벌목(7.1%), 메뚜기목(4.7%), 잠자리목(2.0%), 기타목의 순으로 나타났다. 2007년 12월에 발생한 허베이스피리트호 태안 유류유출 사고 전 후로 사질성 곤충상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전체 조사기간 동안 대부분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45종의 사질성 곤충이 조사되었고, 유류오염이 사질성 곤충 출현 종 수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of insect fauna in Taeanhaean National Park in Korea began with the first survey of natural resources in 1996, and then the surveys were conducted seasonally from 2005 to 2014. The surveyed sites were mostly coastal areas, sand dunes, and back grasslands. Insects were collected by sweeping with insect net, suction, pitfall trap, light trap, and Malaise trap. As a result, a total of 1,540 species of 215 families belonging to 17 orders were identified. Lepidoptera was the most populous group at 34.2% and followed by Coleoptera at 28.3%, Hemiptera at 12.7%, Diptera at 8.5%, Hymenoptera at 7.1%, Orthoptera at 4.7%, Odonata at 2.0%, and others. The analysis of change of arenaceous insect fauna before and after the accident by the Hebei Spirit that spilt oil in Taean in December 2007 showed that 45 arenaceous insect species, mostly belonging to Coleoptera, were observed through the whole survey period. The impact of oil spill on the number of arenaceous insect species appearing in the area was minor.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1. 태안해안국립공원 곤충상
  2. 멸종위기종 및 법적 보호종
  3. 사질성 곤충상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강승호(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Seung-Ho Kang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 홍의정(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Eui-Jeong Hong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 정종철(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Jong-Chul Jeong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Corresponding author
  • 이종은(국립안동대학교 생명과학과) | Jong-Eun Lee (Department of Biology, Andong University)
  • 김영진(국립생태원) | Young-Jin Ki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