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에서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유용성 연구 KCI 등재

Usability studies of coronal plane DWI in MRC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06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목 적 :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MRCP)에서 관상면(Coronal plane) 확산강조영상의 프로토콜 적용을 위한 최적의 b-value 값을 영상분석으로 산출하고, 축상면(Axial plane) 확산강조영상과의 비교를 통해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용장비는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Achieva, Philips medical system) 장비와 32-channel SENSE Cardiac coil을 사용하였다. 영상은 b-value(0s/mm², 400s/mm², 800s/mm²)값을 다르게 하여 관상면 single-shot echo-planar diffusion weighted image(SSEPDWI)로 획득하였다. 영상획득의 매개변수는 TR/TE : 1280/ 60msec, Slice Thickness/Gap : 5/2mm, FOV : 220x220x220mm³, Matrix : 92x124, NEX : 3, EPI factor : 33, Acquisition Time : 3min로 하여 조영 후 영상을 얻었다.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을 Philips사의 EWS(Extended MR workspace 2.6.3.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b-value 마다 총담관 및 담낭과 주변조직인 간 실질의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신호 대 잡음 비, 대조도 대 잡음 비를 산출하였다. 더불어 현성확산계수 영상(ADC map)을 통해 정량적 분석과 함께 정성적 분석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v12.k을 사용하여 ANOVA와 Pair T-test 통해 검증하였다.
결 과 :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b-value가 증가함에 따라 총담관과 담낭의 경우 대체적으로 신호 대 잡음 비, 대조도 대 잡음 비, 현성확산계수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총담관 종양과 담낭 결석이 있는 환자에게서는 b-0와 b-400의 차이가 적었으며 일부에서는 b-400이 더 높게 나왔다. 신호 대 잡음 비 평균값은 b-0에서 담낭이 407.9로 가장 컸으며 b-400에서는 이보다 조금 낮은 304.0이 나왔다. 대조도 대 잡음 비에서는 b-400과 b-800에서 큰 차이를 보였으며, b-800보다는 b-400이 더 높게 나왔다. 현성확산계수 평균값은 b-value 값이 증가할수록 ADC 평균값은 약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b-0는 확산경사자장이 인가되지 않은 영상이므로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b-800보다 b-400의 신호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에서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은 총담관, 췌관 및 담낭 등의 해부학적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양의 진단을 다양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적정한 b-value값이 적용 된다면 축상면 확산강조영상과 함께 기타 복부검사에도 확대 적용이 가능하기에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프로토콜 적용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For the application of coronal plane DWI(Diffusion weighted image) in MRCP, we found out the appropriate b-value through image analysis and evaluated the usefulness of coronal plane DWI in comparison to axial plane DWI
Materials and Methods : We acquired MRCP DWI images from twenty-six patients with 3.0T MRscanner(Archieva, Phil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 It applied to SENSE cardiac coil(32-channel) including single-shot echo-planar diffusion weighted image(SSEPDWI).Image parameters were in following TR/TE : 1280/60 msec, Slice thickness/gap : 5/2 mm, FOV : 220x220x220mm³, matrix : 92x124, NEX : 3, EPI factor : 33, acquisition time : 3 min and b-value 0, 400 and 800 s/mm². By using the EWS program of Phillips, we measured the signal intensities of CBD(common bile duct), GB(gallbladder) and parenchyma in each b-value. SNR(signal to noise ratio), CNR(contrast to noise ratio) and ADC(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statistical analysis was verified with ANOVA and pair T-test using SPSS v 12.k
Results : As the b-value in coronal plane DWI increase, SNR, CNR and ADC decrease in GB. But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b-0 and b-400 or higher value in b-400 from the patients with CBD cancer or GB stone. Average SNR of b-0 and b-400 are the highest in GB. B-400 is higher than b-800 in CNR. As the b-value increase, average ADC values decrease. Signal of b-400 is the highest intensity except for b-0 that is not applied for gradient filed
Conclusion : Coronal plane DWI in MRCP improves anatomical understanding of CBD, GB and pancreas as well as diagnosis of tumors. By application of appropriate b-values, coronal plane DWI protocol is considerable with axial plane DWI to abdomen MRI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기간 및 대상
  2. 장비 및 검사 방법
  3. 영상분석
 Ⅲ. 결 과
  1. 정량적 분석 결과
  2. 통계분석
  3. 정성적 분석
 Ⅳ. 결론 및 고찰
 V. 참고문헌
저자
  • 김경민(고대안암병원 영상의학과) | Kyung Min-Kim
  • 서현(고대안암병원 영상의학과) | Hyun-Seo
  • 이윤상(고대안암병원 영상의학과) | Yun Sang-Lee
  • 최우남(고대안암병원 영상의학과) | Woo Nam-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