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관상동맥 경화반(coronary plaque) 측정을 위한 MR-FFR(Fractional Flow Reserve) 검사 적용 시 2D PC-VENC 기법의 최적화 설정에 대한 연구 KCI 등재

Feasibility of novel coronary plaque MRI technique PC-VENC in MR-Fractional Flow Reserv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08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목 적 : 최근 관상동맥 경화반(coronary plaque)을 진단하기 위해 X-ray를 이용한 관상동맥 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fractional flow wire를 통한 관상동맥 혈류측정 (fractional flow reserve, FFR),혈관내초음파(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심혈관 광간섭 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등 여러 가지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관상동맥 경화반(coronary plaque) 을 평가할 수 있는 PC-VENC를 이용한 MR- FFR(fractional flow reserve)이 개발되어 기존의 비침습적 영상기법인 관상동맥 CT와 OCT, FFR등 침습적 영상기법과 비교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상동맥 경화반(coronary plaque)을 평가하는 MR-FFR 검사에서 사용되는 2D PC-VENC 기법의 최적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8월부터 2016년 1월까지 관상동맥의 근위부에 의미 있는 동맥경화반이 관찰되어 침습적 관상동맥 조영술과 OCT 또는 FFR측정이 예정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MR-FFR 검사를 진행하였다. 3.0T MR(Trio, Siemens Healthcare, Erlangen, Germany) 장비를 사용하였다. 코일은 phased-array body coil을 사용하였고 parameter는 fat saturation을 사용하고 in-plane resolution은 0.5-0.6 × 0.5-0.6 mm², slice thickness 는 3.2 mm, VENC 범위는 동맥 경화반 상태에 따라 40-80 cm/s(3방향 z, x, y), cardiac phases는 2 (segments/phase), scan time은 slice당 4-8min/slice으로 설정하였다.
결 과 : Stenosis 정도 40%이하는 4명(13%), 40~70% 에서는 25명(77%), 70%이상은 3명(10%)으로 검사하였다. 40%이하에서의 VENC측정값은 normal 구간에서 40cm/sec, plaque 구간에서는 41±2.5cm/sec로 나타났고, 40~70%에서의 VENC측정값은 normal에서 40cm/sec, plaque구간에서는 46±4.6cm/sec로 70%이상에서의 VENC 측정값은 normal, plaque구간 모두 45cm/sec로 나타났다. VENC측정값 별 평균 검사시간은 35~40cm/sec에서 91.2분, VENC 40~45cm/sec에서 98.4분, VENC 45~50cm/sec에서 98.4분, VENC 50cm/sec 이상에서 107분이 소요되었다.
결 론 : 관상동맥 경화반 진단을 위한 2D PC-VENC 기법 사용 시, 본 연구에서 측정된 stenosis 정도에 따라 적정 VENC측정값을 사용하여 장시간의 검사시간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알고 있는 stenosis정보를 통해 guide가 될 수 있는 VENC값을 사용함으로써 검사시간의 효율화를 구현할 수 있다.

Purpose : Recently, diagnostic coronary plaque to order using the X-ray coronary angiography, fractional flow wire through the fractional flow reserve; FFR, 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etc. various techniques are used. MR- FFR using PC-VENC have to assess the development of coronary plaque i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non-invasive imaging of the coronary arteries with CT-invasive imaging techniques such as OCT, FFR have been studied is in prog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ptimization of PC-VENC factors used in the MR-FFR to evaluate coronary plaque.
Materials and Methods : From August 15 Jan 2016, proximal coronary plaque conducted were observed for MR-FFR test targets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and OCT, FFR has scheduled 30 patients. 3.0T MRI (Trio, Siemens Healthcare, Erlangen, Germany) was used for the equipment. Used phased-array body coil, parameter apply the fat saturation and the in-plane resolution is 0.5-0.6 x 0.5-0.6 mm², slice thickness is 3.2 mm, VENC range of 40-80 cm, depending on conditions atherosclerosis half / s (3 directions z, x, y), is 2 cardiac phases (segments / phase), scan time was set at 4-8min / slice per slice.
Results : Four patients with under 40% about progression of stenosis examined, which accounted for 13% of participants, 25 with 40~70% of the progression did, making up 77% and three with over 70% involved, occupying 10%. Measured VENC values under 40% stood at 40cm/sec on the normal range and 41±2.5cm/sec on the plaque range, those of 40~70% recorded 40cm on the normal and 46±4.6cm/sec on the plaque and those over 70% presented 45cm/sec on the both ranges. The average time of examination for each measured values on VENC took 91.2 mins on 35~40cm/sec, 98.4 mins on 40~45cm/sec and 107mins on over 50cm/sec
Conclusion :When using the 2D PC VENC examination techniques to diagnose coronary plaque, it can minimize a waste of the examination time if use the proper VENC value from this study. And it helps effectiveness of examination time by using VENC value through the known stenosis degree.

목차
I. 서 론
 II. 대상 및 방법
  1. 기간 및 대상
 III. 결 과
  1. 실험 측정 결과
 IV. 고 찰
 Ⅴ. References
저자
  • 이길백(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 Gil Baek Lee
  • 도지훈(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 Ji Hoon Do
  • 박시섭(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 Si Sub Park
  • 김윤국(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 Yoon Kook Kim
  • 박순규(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 Soon Kyu Park
  • 임재식(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 Jae Sik 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