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화장품 업계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합성타르색소인 적색204호, 적색215호, 등색203호의 3가지 색소에 대하여 유전독성시험을 행하였다. Chinese hamster lung(CHL) 세포에서의 염 색체이상시험과 ddY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 및 초파리 날개를 이용한 체세포돌연변이 재조합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염색체이상시험과 소핵시험에서는 적색204호, 적색215호, 등색203호에서는 유전독성을 나타내는 변이원으로서는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파리날개를 이용한 체세포돌연변이시험에서는 각각 100 ㎎/㎖에서 single small spot의 출현빈도가 p<0.05의 유의수준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양상을 보였고, twin spot의 빈도 수는 적색204호의 경우는 50 ㎎/㎖ 농도에서, 적색215호의 경우는 100 ㎎/㎖ 농도에서 p<0.05의 유의수준에서 증가양상을 보여 약한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The mutagenicity of three external colorants, lake red CBA (D&C Red No.9, R- 9), rhodamine B stearate (D&C Red No.37, R-37) and permanent orange (D&C Orange No.17, 0- 17) was evaluated. In this study, the genetic toxicity of the these dyes was examined by in uitro chromosome aberration test in cultured mammalian cells, in uiuo micronucleus test in ddY mice, and somatic mutation and recombination test (SMART) in Drosophila melanogaster. Three dyes did not induce mutagenicity in chromosome aberration test and micronucleus test. But Red No. 9 and Red No. 37 showed slight increase of abnormal wing spots in Drosophila rnelanog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