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본정서 뇌 영상 연구의 fMRI 메타분석 KCI 등재

A f MRI Meta-analysis on Neuroimaging Studies of Basic Emo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20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뇌 영상 기술을 활용한 정서 연구를 근거로 기본정서 이론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 MRI) 연구들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했다. 기본정서 이론을 확인하기 위해 즐거움, 행복, 공포, 분노, 혐오, 슬픔의 6개 개별정서를 선정했다. 개별정서의 f MRI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최근 10년간 289편의 f MRI 연구를 조사했으며, 이중에서 69편이 포함 기준을 충족시켰다. 6개 정서에 대해서 건강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f MRI 자료를 수집했으며, Talairach 또는 MNI 표준 좌표로 보고된 연구만을 포함시켰다. Talairach와 MNI 좌표 체계간의 차이를 없애기 위해 Talairach 좌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활성화 가능성추정(ALE) 기법을 이용한 GingerALE 2.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 기본정서 이론의 관점에서 개별정서들이 일관되고 구별 가능한 국부적인 뇌 반응과 관련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각각의 개별 정서들과 관련된 뇌 반응 영역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에 있어서 극복해야 할 제한점을 기술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 몇 가지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basic emotion theory based on the emotion-related research using functional brain imaging technology. For this purpose, a meta-analysis on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studies was performed. Six individual emotions-joy, happiness, fear, anger, disgust, sadness-were selected. In order to collect the fMRI data of individual emotions, we searched the electronic journals such as Medline, PsychInfo, PubMed for the past 10 years. fMRI experiment data aimed at healthy subjects for 6 emotions were collected, and only studies reported in Talairach or MNI standard coordinate system were included. In order to eliminate the difference between Talairach and MNI coordinate systems, we analyzed fMRI data based on the Talairach coordinate system. A meta-analysis using GingerALE 2.3 program adopting the activation likelihood estimates (ALE) techniques was performed.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 emotions are associated with consistent and distinguishable regional brain respons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basic emotion theor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of the brain areas associated with each individual emotional reaction was substantiall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existing review articl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기본정서
  2.2. f MRI 메타분석
  2.3. 정서와 뇌
 3. 연구 방법
  3.1. 메타분석 대상 선정
  3.2. 메타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4.1. 개별정서의 활성화중심
  4.2. 개별정서의 활성화 클러스트
  4.3. 개별정서에 따른 뇌 반응의 국지화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
  • 김광수(전주기전대학 유아교육과) | Gwang-Su Kim
  • 한미라(전북대학교 교육학과) | Mi-Ra Han
  • 박병기(전북대학교 교육학과) | Byung-Gee Ba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