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개발 연구 KCI 등재

Development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Effectiveness Scale in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the juvenile training scho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34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본 연구는 교정시설/소년원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문헌검토를 통하여 이론적 근간을 마련하고, 현재 교정시설/소년원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분석하고 문화예술 강사들의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전문가와의 논의를 거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의 구성개념과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의 문항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고 윤문작업을 거쳤으며,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스크린 작업을 하였다. 본 조사는 2회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1차 조사 설문지의 배포와 수거는 2011년 8월 10일부터 8월 20일에 걸쳐 시행하였으며, 총 842명(교정시설 589명, 소년원학교 253명)이 참여하였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조정을 실시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1년 12월 10일부터 30일까지였으며, 총 691명(교정시설 505명, 소년원학교 186명)이 참여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문항스크린(기술통계치, 신뢰도 등),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순으로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6개 요인, 63개 문항으로 최종 척도가 구성되었다. 전체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의 신뢰도는 .927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형적합도 지수 또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최종적으로 ‘스트레스 17문항’, ‘사회성 17문항’, ‘문화예술 선호성 7문항’, ‘긍정성 10문항’, ‘자기조절력 8문항’, ‘표현력 4문항’의 6요인, 6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ystematic researching tools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conducted in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the juvenile training school. We have constructed preliminary items through analyzing the theoretical overall view and the purposes and goals of the programs with regard to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n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the juvenile training school. After verifying by professionalist’s comment on preliminary validity, we have operated questionnaire on 842 users in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the juvenile training school. Eventually, we selected the cases of 691users in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the juvenile training school. And analyzed them in order to descriptive statistics, Item Response Theor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nally, we completed each scale for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 The scale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consists of six factors such as 'Stress', 'Preference to Culture and Art', 'Sociality', 'Positivity', 'Self Regulation' and 'Expression' with 63 questions. Developing the scale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satisfying the purpose and goal of its program, would provide the program manager or developer in the field with the significant guidelin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ile preparing the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Ⅲ. 연구결과
  1. 요인분석
  2. 신뢰도 검증
  3. 타당도 검증
  4. 적합도 검증
 Ⅳ.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임영식(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Youngsik Lim
  • 정경은(초당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Kyoungeun Chung 교신저자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