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및 생화학적 특성 KCI 등재

Serotypes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Seafood Produ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42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2001년 1-12월 수거한 총 742건의 수산물(어류 192건, 패류 242건, 갑각류 39건 그리고 연체류 71건)을 대상으로 대장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12.4%(92/742)의 검출율을 보였다. 분리된 92주의 월별 분포를 살펴보면, 1월 10%(1/10), 2월 7.1%(2/28), 3월 9.7%(7/72), 4월 10.8%(8/74), 5월 1.9%(1/53), 6월 20.3%(16/79), 7월 13.3%(10/75), 8월 40.0%(20/50), 9월 8.1%(7/86), 10월 10.0%(9/90), 11월 8.3%(6/72) 그리고 12월 9.4%(5/53)의 검출율을 보여 6-8월 등 하절기에 많은 대장균이 분포됨을 알 수 있었고, 검체별 분포를 살펴보면, 어류가 10.4%(20/192), 패류 14.5%(35/242), 갑각류 4.7%(10/212) 그리고 연체류 28.1%(27/96)의 검출율을 보여 연체류가 어류, 패류 및 갑각류에 비해 대장균 분리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강원 12.5%(8/64), 경기 8.7%(6/69), 경남 18.4%(25/136), 경북 33.3%(1/3), 전남 13.2%(30/228), 전북 11.8%(8/68), 충남 6.3%(2/32), 제주 17.7%(3/17) 그리고 우리나라 이외의 지역에서 7.2%(9/125)의 검출율을 보였다. 92주 가운데 61주를 대상으로 불리균들의 O 혈청형을 동정한 결과, 개미더덕 1건에서 O6, 숭어와 갈치 각각 1건에서 O25가 확인되었고, 개미더덕, 한치알, 백합 각각 1건에서 O29가, 개미더덕 1건에서 O78 그리고 굴, 갑오징어, 갈치, 병어, 적어, 동죽살 각각 1건씩에서 O112, O136, O146, O159, O166, O168이 각각 확인되어 총 21.3%(13/61)의 혈청형이 동정되어 어패류 등 수산물에 대장균이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E.coli could cause a variety of different types of diseases, including diarrhea, urinal infection, peritionitis and infant septicemia. Ninety two E. coli strains(12.4%) were isolated among 742 seafood products in Seoul Garak fishery market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1. These isolates were serotyped as O24, O25, O29, O78, O112, O136, O146, O159, O166 and O168. Most E. coli strains were isolated from molluscs (28.1%), shellfishes (14.5%), fishes (10.4%) and crustaceans (4.7%) in summer. Therefore, we knew that E. coli could be contaminated in various seafood products.

저자
  • 함희진
  • 진영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