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면역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E. coli O157: H7 신속검출 키트의 유효성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E. coli O157: H7 Rapid Detection Kit using Immunochromatograph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42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식품으로부터 다양한 병원 미생물을 신속 검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검출 원리를 이용한 키트들이 개발·시판되고 있다. 검사키트는 신속, 정확하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검사기관이나 실험실 뿐 아니라 식품회사에서 QC 또는 QA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E. coli O157:H7의 단클론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개발한 E. coli O157:H7 검출 키트(Donga Co, Korea, D-kit)에 대한 검출감도 및 특이성을 확인하고 식품 시료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개발?시판되고 있는 Reveal E. coli O157:H7 (Neogen Co., USAm R-kit)와 VIP EHEC kit (Biocontrol INC., USA, V-kit)를 비교 키트로 사용하였다. E. coli O157:H7 표준균주를 사용하여 실시한 검출감도 확인시험 결과 R-kit 및 D-kit는 104/㎖의 농도에서 양성으로 확인되었고 10³/㎖에서도 약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V-kit는 10?/㎖ 농도로 검출감도가 낮았다. 또한 배양액을 가열하여 kit에 적용하는 것이 가열하지 않은 경우보다 검출감도를 높일 수 있었다. E. coli O157:H7 분리 22주, verotoxin 생성 E. coli 7주 E. coli 분리주 40주 및 38종의 장내세균에 대한 특이성 시험 결과 세 가지 키트 모두에서 동일한 결과를 보였는데, 시험균주 107주 중 3주를 제외한 모든 균에서 음성의 결과를 보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세 키트에 위양성 반응을 보인 것은 E. coli O157:H19, E. coli O157:H18 및 Salmonella galinarium으로 이들 혈청형과 O157:H7 사이에는 유사한 혈청학적 특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D-kit는 E. coli O157:H7을 검출하는데 감도 및 특이성 면에서 기존 키트인 R-kit 및 V-kit와 같이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or the rapid detection of various pathogenic microorganisms from food samples, various kinds of kit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markets. With the advantages of speed, accuracy and easiness, the markets of these kits has gradually increased for the QC and QA field of food company as well as testing facilities or laboratorie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detection limit and the sensitivity of immunochromatographic type of rapid detection kit(Donga Co, Korea, D-kit) for E. coli O157:H7 developed by monoclonal antibody were examined and also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kit to food samples was evaluated. The reference kits used for comparison study were Reveal E. coli O157:H7 (Neogen Co., USAm R-kit) and VIP EHEC kit (Biocontrol INC., USA, V-kit) occupying major market share. In the detection limit test with E. coli O157:H7 reference, both R-kit and D-kit showed a distinct positive reaction in 10⁴/㎖ and weak positive reaction in 10³/㎖, whereas V-kit showed a same reaction in 105/㎖.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he culture treated with heat showed more sensitivity than no heat treated culture. The sensitivity test was conducted against 22 isolates of E. coli O157:H7, 7 strains of non-O157:H7 verotoxin- producing E. coli, 40 straine of E. coli with different O and H antigen type, and 38 strains of non-E. coli Enterobacteriaceae, and all of the test strains except three were showed exactly the same reaction against three kinds of tested kits. All the three kinds of kits showed a positive reaction against E. coli O157:H19, E. coli O157:H18 and Salmonella galinarium. We suppose that there might be a similarity in serological property between these three strains and O157:H7. From the test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D-kit developed in this study and R-kit or V-kit based on the detection limit and sensitivity.

저자
  • 곽효선
  • 이동하
  • 문희숙
  • 박종석
  • 우건조
  • 김창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