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oheon Jang Hyeon-Gwang's Interpretations of Great Learning and Their Meanings
여헌 장현광의 '대학'해석 연구
이 글은 張顯光(1554-1637)의 『대학』 해석에 대해 기왕의 연구가 문집에 수록된 「錄疑竢質」만을 분석해 논한 것을 반성하고, 『역학도설』에 수록된 「大學圖」·「大學改正之圖」를 함께 분석하여 그의 『대학』 해석의 성취과정 및 특징을 밝힌 것이다.
장현광의 『대학』 해석은 세 단계로 성취되었다. 제1단계는 주자의 『대학장구』에 따라 해석하면서 權近·李滉 등의 설을 비판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그의 「大學圖」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대학도」는 주자의 「대학도」를 따르지 않고 권근·이황의 대학도를 수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데 이황의 대학도보다는 권근의 대학도에 가깝다.
제2단계의 해석은 선유들의 『대학장구』개정설을 보고서 다시 「大學改正之圖」를 작성한 것이다. 이 「대학개정지도」는 권근·이황의 대학도와 완전히 다른 시각에서 만든 것이다. 특히 명명덕·신민 밑에 팔조목의 공부를 배열하고, 지어지선 밑에 팔조목의 공효를 나누어 배열한 것, 전 제4장의 청송장을 경문 맨 뒤로 옮기고, 경문 제2절·제3절을 뒤로 옮겨 순서를 바꾸어서 격물치지장으로 삼은 것, 전 제4장을 없앰으로써 전체를 經一章·傳九章으로 파악한 것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설은 이언적의 설과 유사하지만, 지어지선 밑에 팔조목의 공효를 배열한 것과 전 제1장·제2장의 논리구조를 端(本)-事-極으로 파악한 것 등은 그만의 독특한 설이다.
제3단계는 자신의 개정설을 다시 수정하여 『대학장구』개정설을 제기한 것으로, 「錄疑竢質」에 수록되어 있는 설이 그것이다. 이 설의 핵심은 격물치지장을 재구성한 데 있는데, 채청·이언적의 설을 수용하여 맨 앞에 ‘所謂致知在格物者’ 8자를 보충하고, 그 다음에 경문 제3절, 청송장, 경문 제2절을 배열하고 ‘此謂知本’을 ‘此謂物格’의 오자로 보아 수정하여 ‘此謂知之至也’와 함께 격물치지의 공효로 삼은 것이 특징이다.
장현광은 『대학』을 해석하면서 내용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탐구를 하였는데, 誠意章 ‘誠於中’을 주자 및 쌍봉요씨의 설과는 달리 선이 마음속에 가득 찬 것으로 해석한 것이 독특하다.
이러한 장현광의 설은 경학사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선유의 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문제의식을 키웠고 독자적인 시각으로 『대학장구』개정설을 제기하였다. 둘째, 「대학도」·「대학개정지도」 등을 작성하여 삼경령·팔조목의 공부와 공효에 대한 연관성을 보다 정밀하게 밝혔다. 셋째, 傳文은 經文을 해석한 것이라는 傳文釋經之法의 논리를 개발하여 전문의 논리적 흠결을 보완하였다. 넷째, 격물치지의 개념을 주자와는 다르게 정의하여 격물치지장의 논리적 정합성을 선명하게 하였다. 다섯째, 경문 제2절(知止而后有定……)의 知止·定·靜·安·慮·得을 새롭게 해석하여 팔조목과 연관시킴으로써 삼강령의 공효로 막연히 이해하던 해석을 명료하게 하였다. 여섯째, 誠意章의 ‘誠於中’을 善이 마음속에 가득한 것으로 해석하여 해석의 다양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flected upon the fact that previous studies on the interpretations of Great Learning by Jang Hyeon-gwang(1554-1637) analyzed only his Nokuisajil in his collection of works and included his Daehakdo and Daehakgaejeongjido in his Yeokhakdoseol in analysis, as well, thus finding out that his interpretations of Great Learning underwent three stages and shedding light on each of their characteristics.
Jang interpreted Great Learning in three stages. In Stage 1, he interpreted according to Zhu Xi's Great Learning Divided by Chapters and Sentences and critically accepted theories of Gwon Geun and Lee Hwang. It can be checked in his Daehakdo, which hold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accepted the Daehakdo of Joseon's scholars such as Gwon Geun and Lee Hwang instead of Zhu Xi's Daehakdo. It is closer to Gwon Geun's Daehakdo than Lee Hwang's Daehakdo·
In Stage 2, he rewrote his Daehakgaejeongjido based the revision theories about Great Learning Divided by Chapters and Sentences by some Confucian scholars before him. This diagram was made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Daehakdo of Gwon Geun and Lee Hwang. Its characteristics include putting the Gongbu of Paljomok under Myeongmyeongdeok and Sinmin, placing the Gonghyo of Paljomok under Jieojiseon, moving the Cheongsongjang of the old Chapter 4 to the end of Gyeongmun, moving Passages 2 and 3 of Gyeongmun to the back, changing their order, and taking them as Gyeokmulchijijang by placing them before "Chawuijibon Chawuijijijiya," and figuring the whole work out in Gyeongiljang and Jeongujang by getting rid of the old Chapter 4. Jang's theory is similar to that of Lee Eon-jeok, but it is unique in that it places the Gonghyo of Paljomok under Jieojiseon.
In Stage 3, Jang raised a revision theory about Great Learning Divided by Chapters and Sentences by revising his own revision theory, and it can be found in his Nokuisajil· The core of his theory was the reorganization of Gyeokmulchijijang. His theory is characterized by adding eight letters of ‘所謂致知在格物者’ to the front by accepting the theories of Chae Cheong and Lee Eon-jeok, placing Passage 3 of Gyeongmun, Cheongsongjang, and Passage 2 of Gyeongmun behind them, taking "Chawuijibon" as the misspelling of "Chawuimulgyeok," and making it the Gonghyo of Gyeokmulchiji along with "Chawuijijijiya" after revision. Jang made an in-depth inquiry into the content of Great Learning, as well. Unlike Zhu Xi and 雙峰饒氏, he made a unique interpretation of Seonguijang "Seongeojung" by stating that good filled the heart up.
Those theories of Jang Hyeon-gwang have the following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hinese classics study: first, he developed 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by critically accepting the theories of Confucian scholars before him and raised a revision theory about Great Learning Divided by Chapters and Sentences with a unique viewpoint; second, he examined the connections between the Gongbu and Gonghyo of Samgyeongryeong and Paljomok in more details by writing Daehakdo and Daehakgaejeongjido; third, he developed the logic of Jeonmunseokgyeongjibeop, which argues that Jeonmun is the interpretation of Gyeongmun, and supplemented the logical shortcomings of Jeonmun; fourth, he defined the concept of Gyeokmulchiji different from Zhu Xi and made the logical consistency of Gyeokmulchijijang clear; fifth, he interpreted the 知止·定·靜·安·慮·得 of Passage 2 of Gyeongmun(知止而后有定……) anew, connected them to Paljomok, and made the vague interpretation understood as the Gonghyo of Samgangryeong clear; finally, he interpreted the "Seongeojung" of Seonguijang as the heart full of good, thus proposing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