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폐경기 여성에서 호르몬 관련 요인과 건성안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2
목적: 한국 폐경기 여성에서 호르몬 관련 요인과 건성안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인구 기반 단면 연구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를 완료한 총 4,586명의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복합표본설계 프로시저를 구성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건성안 유병 률을 산출하였고, 공변량을 보정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내생적 및 외생적 호르몬 관련요인 과 건성안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폐경기 여성에서 건성안의 가중된 유병률은 14.2%(95% 신뢰구간: 13.0-15.8)이었다. 사회 인구학 적 요인, 건강행태 요인, 동반질환을 보정한 후에도 경구피임약을 23개월 이상 복용한 경우 건성안 발생 위 험이 1.47배(95% 신뢰구간: 1.03-2.09) 증가하였으며, 여성호르몬제를 36개월 이상 복용한 경우 건성안 발생 위험이 1.70배(95% 신뢰구간: 1.17-2.47) 증가하였다. 결론: 한국 폐경기 여성에서 장기간의 경구피임약과 여성호르몬제의 복용은 건성안의 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ormone related factors and dry eye syndrome (DES)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Method: This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a complex sample design procedure for 4586 postmenopausal women who completed the 5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0-2012). The prevalence of dry eye was calculated for postmenopausal wome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DES and hormone related factors (exogenous and endogenous), and we also adjusted for possible covariates(possible covariates were adjusted). Result: The weighted DES prevalence (95% CI) in postmenopausal women was 14.2% (13.0-15.8). Even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lifestyle factors, and medical factors, the risk of DES was increased when taking oral contraceptives for more than 23 months (odds ratio = 1.47, 95% confidence interval = 1.03-2.09) and for women over 36 months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dds ratio = 1.70, 95% confidence interval = 1.17-2.47). Conclusion: Long-term oral contraceptive use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