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식품접객업소 얼음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및 관리방안 KCI 등재

Monitoring of Microorganism Contamination of Ice for Foods in the Store and Hygienic Management Metho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1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전국의 식품접객업소에서 사용되는 얼음 500 품목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지표세균 및 식중독미생물)를 실시하였다. 지역별 수거한 얼음의 일반세균 평균값은 서울지역이 2.31 log10CFU/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라도지역이 1.83 log10 CFU/g으로 가장 낮게 검출되었다. 식중독 관련미생물(S. aureus, L. monocytogenes)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제빙기얼음과 포장판매얼음을 비교한 결과 포장판매얼음의 일반세균 평균값이 0.45 log10CFU/g 더 낮게 검출되었다. 접객업소는 베이커리 매장, 디저트 매장, 음료 매장 세 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는데, 디저트를 판매하는 접객업소 얼음의 일반세균 평균값이 2.37 log10 CFU/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접객업소에서 사용하는 얼음의 형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제빙기 및 포장판매얼음의 안전한 위생관리를 위해서는 개인위생과 함께 주기적인 얼음제조설비의 세척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nitor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ice collected from food stores or restaura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From the ice collected on a regional basis, it was observ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TAB) of samples from Seoul was the highest, showing 2.31 log CFU/g, while that of samples from Jeolla-do was the lowest, showing 1.83 log CFU/g. The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from the ice. Also the average number of TAB of packaged ice (commercial ice) was 0.45 log CFU/g lower than that of ice from ice-making machine. Among three types of stores (the bakery, the dessert store and the beverage store), ice from dessert store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TAB (2.37 log CFU/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ygienic management of the ice from the stores is necessary. Therefore, to ensure the hygienic management of ice, not only the ice-making machine should be sanitized on a regular basis but also a thorough individual hygiene is required from food manufacturing workers.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실험재료
  위생지표세균 오염도 측정
  병원성 미생물 오염도 측정
  통계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지역에 따른 얼음의 지표미생물 오염도 분석
  얼음의 식중독균 오염도 분석
  얼음의 종류에 따른 미생물학적 오염도 분석
  판매 품목에 따른 미생물학적 오염도 분석
  얼음의 안전성 확보 방안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장홍근(경기대학교 대학원 식품생물공학과) | Hong Keun Jang
  • 이호(경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생물공학과) | Ho Lee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