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수준에 관하여 체계적인 연구분석(systemic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비가열 농산물의 위생안전관리를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인쇄된 관련 연구논문을 NDSL 검색 엔진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 리뷰, 자료 정리, 분석 및 결과 정리하였다. 농산물 분류체계를 비교 조사하여 미국의 IFSAC (Interagency Food Safety Analytics Collaboration) 의 식품분류체계에 따라 국내 농산물을 분류하였다. 선정된 22건의 논문 내 89건의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 분 류체계 내에서 국내 농산물에서 총균수 수준이 높고 대장균 오염이 가장 많은 농산물은 엽경채류와 새싹·발아채 소(sprouts)로 나타났다. 단체급식에서 생채소로 소비되는 엽경채류에서 단체급식의 다소비 농산물로서 식중독과 연관성이 높은 품목인 상추, 부추, 배추에 관하여 미생물에 관한 자료 검색, 수집, 선정 및 분석 결과 최종 33편의 논문에서 미생물의 정량적 수준은 총균수 4.15~ 7.69 log CFU/ g, 대장균군 1~6.99 log CFU/g, B. cereus 0.51~3.9 log CFU/ g으로 나타났다. GAP 데이터 기반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문헌조사 결과 퇴비, 토양, 작업 자 손, 장갑이 주요 영향인자로 나타났다. 농산물의 미생 물학적 관리를 위하여 전문가 의견과 문헌조사를 통하여 GAP도입, 취약 품목의 미생물학적 분석계획, 토양으로부터 작물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작물생산방식 도입 및 실행규범 준수가 필요하다.
This study systemically analyzed the data on the microbial levels in fresh vegetables in Korea to identify the points to control. We scanned the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15 in peer-reviewed research papers on the microbial levels in fresh vegetables produced in Korea. Plant products were categorized by using the US IFSAC (Interagency Food Safety Analytics Collaboration) category. The most consumed, the non-heat treated, the epidemiological foodborne diseases sources of fresh vegetable in foodservice (KCDC data) were identified by literature review. Articles were screened using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search engine regarding to microbial hazards in plant products. Based on the total plate count number and coliforms on the 89 data cases from 26 published articles, the total plate count number was high in the order of sprouts, leaf and stem, bulbs and roots, vinegrown, solanaceous, melons, and pome. Escherichia coli was frequently detected in leaf and stem and sprouts products. Focused on the microbial data of leek, lettuce and cabbage, the levels of total plate count, coliforms and Bacillus cereus showed the levels of 4.15~7.69 log CFU/g, 1~6.99 log CFU/g, and 0.51~3.9 log CFU/g, respectively, by 33 published papers. The levels of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microbial safety of lettuce and leek before harvest were investigated. Manure, soil, hands, scale, gloves were the major potential microbial contamination points to control. In addition,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 microbial testing, and improvement of irrigation methods are required to provide the safer fresh produ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