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교 조직문화와 풍토에 따른 교사의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변인간의 관계 재조명: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Affect Factor on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School Organization Culture and Natur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Gend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0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조직문화와 풍토에 따른 교사의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를 재조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중집단 즉 남교사와 여교사의 성별에 따른 교직만족도의 차이가 교육행정과 교육심리 영역 중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학교의 조직 문화와 조직 풍토에 따른 교사효능감, 교사의 전문성 개발, 교사-학생간의 관계와 교직만족도 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에 따른 차이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학교 조직문화와 풍토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의 경우 남교사의 평균이 여교사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교사-학생관계의 경우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으며, 이와 같은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교 조직문화와 풍토에 따른 교사효능감, 교사의 전문성 개발, 그리고 교사-학생관계가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교사효능감의 경우 남교사와 여교사 모두 교직만족도에 미미하지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 달리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교사-학생관계의 경우 남교사의 표준화계수가 여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각각의 변수가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볼 때 다중집단에 따른 교사효능감이 교직만족도, 교사의 전문성개발, 교사-학생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와 유의미성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간접적으로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토대로, 정부나 일선학교현장에서 교사효능감과 관련한 바람직한 방향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efficacy variable through two variables, which ar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s-students relationship, affect on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eachers' gender. As a result, firstly the mean of teachers' effica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le teacher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an of female teachers but the mean of teachers-students relationship of mal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mean of female teachers.
Secondly, although direct effect from teachers' efficacy to job satisfaction is not huge, there is an indirect effect of teachers' efficacy into the job satisfaction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s-students relationship. That is, each indirect effect has different value depending on teachers' gender and also play a important role in this result so that we need to find how to increase teachers efficacy for improving their job satisfaction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s-students relationship. Also we need to support teachers to increase their efficacy by giving appropriate supports based on their gender. Therefore, teachers' efficacy would be very important concept to improve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목차
요 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교사효능감(Teachers' self-Efficacy)에 관한 이론적 접근
  2. 선행연구 분석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IV. 연구결과
  1. 기술통계량 및 상관분석
  2. 다중집단에 따른 독립표본 t-검정
  3. 다중집단분석을 위한 측정불변성
  4. 다중집단 구조방정식모형 적합도 및 결과
  4. 변수 간의 직·간접효과 및 총 효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상욱(동의대학교) | PARK SANG WOOK
  • 김효선(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원) | Hyosun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