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生産과 流通의 樣式編年 KCI 등재

The Style Chronology of Production and Circulation

생산과 류통의 양식편년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8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고고학적 상대연대결정법으로 몬텔리우스의 형식학적 방법과 순서배열법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자는 유물 각각으로써, 후자는 유물의 공반 즉 유물복합체를 분석단위로 삼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런데, 유물 개개의 시간성을 따지는 것은 유물의 생산시점을 파악하기 위한 작업이고, 공반유물을 통한 상대연대의 규명은 유통 결과의 시간성을 시사하는 것이란 점에 궁극적인 차이가 있다. 소비지의 유물은 각 개인의 취향에 따라 유물의 존속기간이 천차만별이다. 즉 일찍 생산된 물건이라도 늦게 생산된 것보다 더 늦은 시기까지 존속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동일 형식의 물건이라도 그 폐기되는 시간성은 개인에 따라 각각 달리 나타난다. 그러므로 소비지의 유물을 통한 순서 배열법에는 고고학자가 요구하는 유물 또는 유구의 생산시점을 알려주지는 않다. 그리고 유물 각각을 대상으로 작성된 편년들은 모든 유구의 시간성을 파악하는 것에 제한적이기 때문에 한정된 연구에만 사용될 뿐이다. 결국 올바른 편년체계의 구축에 유용한 자료는 생산지에서의 공반유물 즉 유물복합체이고 이렇게 시간 성이 확정된 양식편년을 통하여 고고학의 목적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지의 양식편년을 생산지의 양식편년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도 모색할 수 있다.

Oscar Montelius’s typological method and seriation are two common techniques for relative dating used in archaeology. Two methods are distinguishable in that the former takes each artifact as its unit of analysis whereas the latter takes an association of artifacts, namely the assemblages. However, they are still needed to be further distinguished in the following respect; contrary to the study focused on individual artifacts and each of their times of production, the seriation on the artifacts’ association aims to study their temporality in circulation. The life spans of the artifacts in consumption sites could vary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consuming patterns of individual users. An object produced earlier than others could remain longer and the time for each object in a same type to be discarded also varies depending on who used it. Thus, from the seriation of artifacts in consumption sites, it is difficult to infer a chronology showing when the artifacts and features were produced. On the other hand, a chronology based on each separated artifact could be functional only in limited cases because it is not able to show the temporalities of all archaeological features. Therefore, to construct a proper system of chronology, the associations of artifacts, or assemblages, found in production sites should be examined and the goal of archaeology is approachable only through the style chronology whose temporality is confirmed in this way. The method to transform the style chronology of consumption sites into that of production sites can be also discussed.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몬텔리우스의 屬性分析法
 Ⅲ. 順序配列法의 長短
 Ⅳ. 編年에서의 生産과 流通
  1. 生産編年과 流通編年
  2. 事例의 檢討
  3. 生産과 流通의 樣式編年
 Ⅴ. 맺음말
저자
  • 安在晧(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Dongguk University, Gyeongju) | Ahn, Jae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