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Flood stage analysis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roughness coefficients and discharge for Cheongmicheon watershed KCI 등재

조도계수와 유량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청미천 유역의 홍수위 해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96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의 조도계수와 유량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부정류 흐름에서 홍수위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GLUE (Generalized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 기법을 적용하여 조도계수와 유량의 불확실성이 홍수위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강우사상의 크기와 불확실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도계수의 불확실성은 하천기본계획을 참고하여 0.025~0.040의 범위에서 분석하였다. 유량의 불확실성은 수위 h일 때의 유량을 Q라고 할 때, Q= A(h- B)C로 표현되는 수위-유량관계식의 회귀계수 A, B, C를 통해 분석하였다. 수위-유량관계식의 회귀계수를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하였으며, 회귀계수는 t 분포를 가정하여 95% 신뢰도로 상한과 하한의 범위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회귀계수의 범위는 A는 5.138~18.442, B는 -0.524~0.104, C는 2.427~2.924로 산정되었다. 범위 내에서 10,000개의 매개변수 세트 를 추출하여 HEC-RA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s River Analysis System)에 적용하여 Monte Carlo 모의를 수행하였다. 강우사상 1~3에서 모의된 홍수위의 95% 신뢰구간의 평균적인 범위는 각각 0.39 m, 0.83 m, 0.96 m이며, 첨두 홍수위가 발생했을 때의 범위는 각각 0.52 m, 1.36 m, 1.75 m로 산정되었다. 또한 이천관측소의 1986~2015년의 일 강우에 대한 빈도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수행 결과 GEV (Generalized Extreme Vlaue) 분포일 때 강우사상 1~3의 재현기간은 각각 1년, 10년, 25년 빈도에 해당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강우사상의 크기와 불확실성의 관계를 분석하 였으며, 향후 다양한 강우사상에 적용하여 검증한다면 홍수위의 불확실성을 예측하여, 하천관리 등을 위한 구조물의 계획 및 설계 시 의사 결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lood stage considering the uncertainty caused by the river roughness coefficients and discharg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nvolved the GLUE (Generalized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 to quantify the uncertainty bounds applying three different storm events. The uncertainty range of the roughness was 0.025~0.040. In case of discharge, the uncertainty stemmed from parameters in stage-discharge rating curve, if  represents stage for discharge Q, which can be written as Q= A(h- B)C. Parameters in rating curve ( A, B and C ) were estimated by non-linear regression model and assumed by  distribution. The range of parameters in rating curve was 5.138~18.442 for A, -0.524~0.104 for B and 2.427~2.924 for C. By sampling 10,000 parameter sets, Monte Carlo simulations were performed. The simulated stage value was represented by 95% confidence interval. In storm event 1~3, the average bound was 0.39 m, 0.83 m and 0.96 m, respectively. The peak bound was 0.52 m, 1.36 m and 1.75 m, respectively. The recurrence year of each storm event applying the frequency analysis was 1-year, 10-year and 25-year, respectively.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연구방법
  2.1 대상유역 및 자료구축
  2.2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범위
   2.2.1 조도계수의 불확실성 범위
   2.2.2 유량의 불확실성 범위
   2.2.3 민감도 분석 방법
  2.3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분석 기법
   2.3.1 매개변수 추출
   2.3.2 우도함수와 기준치 선정
   2.3.3 불확실성 구간 제시
 3. 결과 및 고찰
  3.1 유량의 불확실성 범위 산정 결과
  3.2 민감도 분석 결과
  3.3 가중치에 따른 누적분포함수
  3.4 홍수위의 불확실성 신뢰구간
  3.5 강우사상 별 홍수위 불확실성 정량화
 4. 요약 및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Shin, Sat-Byeol(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학교 생태조경․ 지역시스템공학부) | 신샛별
  • Park, Jihoon(Climate Application Department, APEC Climate Center, APEC 기후센터 응용사업본부) | 박지훈
  • Song, Jung-Hun(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송정헌
  • Kang, Moon Seong(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강문성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