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기호식품 중 하나인 과자류(과자, 캔디류, 츄잉껌, 빙과류)에 대하여 1,005건(과자 250건, 캔디류 255건, 츄잉껌 250 건, 빙과류 250건)에 대해 위생 지표 미생물인 일반세균 수, 대장균군/대장균과 더불어 식중독 원인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 클로스트리디움 퍼프 린젠스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였다. 과자류에 대한 일반세균 수의 경우 전체 시료의 26.8%에서 검출되었고, 검출된 세균 수는 1.7 log CFU/g을 나타내었다. 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에는 과자 250건 중 45.2%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빙과류 28.8%, 캔디류 20.0% 및 츄잉껌 13.2% 순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위생지표 세균인 대장균군/대장균의 경우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식중독균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캔디류를 제외한 나머지 유형에서 바실러스 세레우스만 검출이 되었고, 평균 검출량은 1.4~1.6 log CFU/g로 현행 식품공전상의 미생물규격인 3 log CFU/g 이하 수준으로 모두 적합한 제품이었다. 이는 식품공전 상에서 정 하고 있는 미생물 규격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로 식품의 제조·유통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식중독 민감도가 높은 어린이들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해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미생물 기준규격을 고려해야 한다.
According to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USA)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the children (< 5 year-old children) were more susceptible to Foodborne-illness1). Confectionery products should be strictly controlled because they are children-preferred foo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South of Korea) tried to monitor contamination of organisms in confectionery products (such as biscuits, candies, chewing gums and ice candies) distributed in South Korea. MFDS evaluated the levels of indicator organisms: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Escherichia coli as well as the levels of food-borne illness organisms: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Experimental plans for microbiological test we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Microbiological Specifications for Food (ICMSF). For this study, 1,005 samples were collected and from Seoul and Gyeongin region, South Korea. The average level of total aerobic bacteria in 1,005 samples was 1.7 log Colony Forming Unit(CFU)/g and the detection rate was 26.8%. The average level of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in 1.7 log CFU/g and the rate was 0.9%. There was no detection of coliform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rovided as the basic data to set the reasonable microbiological criteria of Korea Food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