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파프리카 재배에서 계절별 광환경 조건과 증산량 예측에 근거한 관수공급 기준 제시 KCI 등재

Irrigation Criteria based on Estimated Transpiration and Seasonal Light Environmental Condition for Greenhouse Cultivation of Paprik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19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파프리카는 수분에 민감한 작물이므로 작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적정 관수조절은 매우 중요하다. 광환경 조건은 시설재배에서 여러 환경 변수 중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며, 지역 별, 계절 별 분포가 다르기 때문에 광 환경 데이터를 이용한 증산과 관수의 추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의 정확한 증산 예측을 위하여 변형된 증산 추정식을 활용하였다. 또한 기상청의 광도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 별 증산량과 관수량을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 하루 중 광도의 편차가 심하고 장마기간이 있으므로 봄, 가을에 비하여 증산량이 오히려 낮았다. 그리고 광주기가 길어지는 봄에 증산량이 가장 많았으므로, 이 시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수시설 용량을 지역별로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설 재배에서 관수설비 기준제시를 위한 자료 및 투입에너지 최적화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Irrigation control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productivity of paprika which is very sensitive to moisture condition. Among environmental factors, light intensity and distribution are not easily controlled and showed a big difference depending on season and region. For adequate irrigation control, therefore, transpiration and irrigation amounts considering light environmental data should be estimated. In current study, modified transpiration model was used for more precise estimation of transpiration. Seasonal transpiration and irrigation amounts at different regions were compared by using light environmental data provided from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transpiration amount in summer was rather smaller than those in spring and autumn seasons in Korea due to large deviations in light intensity as well as rainy period in summer. Irrigation system capacities at various regions could be recommended by using the transpiration amount in the spring having the longest photoperiod in the year.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to the design of irrigation system and optimization of input energy in greenhouse.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증산량 추정
  2. 관수량 설정
  3. 지역 별 증산량 추정과 관수량 설정
  4. 재배규모에 따른 관수시설 설치 기준
 결과 및 고찰
  1. 증산량 추정
  2. 지역 별 증산량 추정
  3. 지역 별 관수량 설정
  3. 관수시설 설계기준
 적 요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신종화(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및 농업생명과학연구원, Department of Plant Science and 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Jong Hwa Shin
  • 손정익(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및 농업생명과학연구원, Department of Plant Science and 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Jung Eek S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