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온실에서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의 이항표본추출법을 개발하였다. 무작위로 선택된 고추를 상, 중 하단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서 세 개의 꽃에 있는 꽃노랑총채벌레를 70% 에탄올이 든 바이알에 털어서 채취한뒤 실체현미경 하에서 밀도를 확인하였다. 꽃노랑총채 벌레의 평균밀도와 3가지 Tally threshold (1, 3, 5) 밀도 이상인 감염비율(PT)간의 이항관계 모형을 평가하여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꽃노랑총채벌 레의 이항표본조사를 위한 최적의 Tally threshold는 3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이항표본추출법의 검증은 이항표본추출법 개발에 사용되지 않은 독 립적 자료를 사용해서 RVSP (Resampling Validation for Sampling Plan) 프로그램으로 진행했으며, 고정 표본 크기(FSS)와 Wald의 순차적 확률비 검정(SPRT)을 사용했다. FSS는 Tally threshold를 3으로, SPRT는 상한값 0.55와 하한값 0.32로 설정해 1000번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했 다. 시뮬레이션 결과 실제 평균과 예측 평균 간의 차이가 없었으므로 개발된 이항표본조사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zeolite and sulfuric acid mixture (ZS) as an air filter to mitigate the emissions of ammonia (NH3), nitrous oxide (N2O), and methane (CH4) during the composting of cattle manu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lank), ZS reduced NH3 emissions by 91.4%, N2O emissions by 33.6%, and CH4 emissions by 20.0% over the 100-day composting period. Additionally, sulfuric acid in the ZS reacted with NH3, storing it as ammonium sulfate [(NH4)2SO4], which can serve as a source of nutrients such as nitrogen (N) and sulfur (S). To evaluate the fertilizing efficiency of [(NH4)2SO4] in ZS for maize growth, we applied four treatments: control (non-N fertilizer), collected ZS (cZS), cattle manure (organic fertilizer, OF), and urea (chemical fertilizer, CF). Compared to the control, cZS increased total dry weight (DW) by 48%,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by 7.3%, and crude protein (CP) by 77.8%.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applications of cZS, OF, and CF.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zeolite mixed with sulfuric acid effectively reduces hazardous gas emissions such as NH3, CH4, and N2O during cattle manure composting. Furthermore, the collected zeolite can potentially be reused as fertilizer, suggesting a positive opportunity for resource recycling to mitigate environmental pollution.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of major domestic feed sources for Hanwoo. Five feed sources mainly used in South Korea were selected: corn meal (CM), soybean meal (SM), wheat flour (WF), palm kernel cake (PKC), and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 (DDGS). These feed sources were purchased from a commercial feed company. For 24 h rumen incubation, each feed source (0.3 g) was placed into the incubation bottle with the rumen mixture (30 mL) in quadruplicates. After incubation, total gas production was measured and sub-sampled for CO2 and CH4 analyses, and the bottle content was centrifuged for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Crude protein content was highest in SM and lowest in CM. Ether extract content was highest in DDGS and lowest in SM, while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contents were highest in PKC and lowest in CM. Propionate content was highest in DDGS, and butyrate and A:P ratio contents were highest in PKC (p<0.05). Total gas emission (mL/g DMD) was lowest in SM and DDGS, while CH4 emission (mL/g DMD) was lowest in DDGS (p<0.05).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DDGS could be an alternative feed source to reduce methane emissions.
기후변화로 인해 대기 중 온실가스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극한 기상 현상이 급증하고 있다. 해양 기후기술은 기 후변화 관찰, 온실가스 감축, 흡수 및 저장, 해양 분야에서의 기후 관련 피해 방지를 목표로 함으로써 환경 문제를 극복하고 기후변화를 해결하는 유망한 대안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해양 기후기술에 대한 분류체계를 수립하고 연구 동향을 파악하며, 한국, 미국, 중국, 일 본,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의 기술 수준을 분석하여 기술 개발 전략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기후기술의 온실가스 감축 및 흡수 분야를 중심으로 주요국의 관련 연구 논문 데이터를 수집하여 2013~2022년의 연구 활동과 영향력을 분석 및 비교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주요국의 현재 기술 현황에 대한 정량적 및 정성적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 다. 2단계에 걸쳐 수행된 설문 결과는 기술 수준, 기술격차, 기술 발전단계 등의 중요한 측면을 포함하였다. 결과에 따른 우리나라의 기술 격차 주요 요인은 기초 연구 지원 및 연구 개발 자금 부족, 정부 정책 미비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양 기후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기초 연구 지원 확대, 연구개발 자금 증대, 그리고 체계적인 정부 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on smart greenhouse for high-valued crops through the Agency of Education, Promotion, and Information Service in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EPIS). These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in four Asian countries – the Philippines, Cambodia, Vietnam, and Indonesia – since 2020. The main objectives of these projects are to enhance agricultural productivity, provide innovative capacity building, and establish effective marketing systems in collaboration with recipient organizations in each country. By focusing on medium- and small-scale farmers who are susceptible to climate shocks, these projects have successfully increased crop yields and the average income of farm households that have adopted advanced greenhouse facilities. This has been achieved through improved planting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high-valued crops. In summary, these projects are playing a crucial role in the modernization of agriculture through the Vulnerable-Smart Agriculture (VSA) scheme, while also collecting policy data to effectively address climate change vulnerabilities. This is being done through a tripartite mechanism involving research, extension activities, and education, all aimed at promoting sustainable agricultural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교육 연구 논문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 분석을 통해 집단적 PCK (cPCK) 중 ‘특정 과 학 주제(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 이해 지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 대체 개념(오개념)과 관련된 지구과학 교육 연구 논문 22편을 선정하여 각각의 정의, 원 인(매커니즘), 그리고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기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 정신모형틀을 적용하 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실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 화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온실 기체의 종류를 제한적으로 알고 있고, 온실 기체의 역할을 이해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실 효과의 발생을 환경오염이나 오존층의 변화와 관련지어 생각하고, 지표-대기의 열수지 평형과 온실 효과를 관련짓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지구 온난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지구 온난화를 해수면 상승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구 온난화의 발생을 환경오 염, 오존층의 변화, 빙하의 융해와 관련지어 생각하고, 지표-대기의 열수지 평형이 깨져 지구 온난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지구 온난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를 지구 온난화, 기상 변화, 기상 이변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 로 분석되었으며, 기후변화의 발생을 대기오염, 오존층의 파괴와 관련지어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후변화 가 우리 생활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 을 통해 종합한 결과, 집단적 PCK로서 3가지 정신모형(범주적 오해, 기제적 오해, 위계적 오해)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 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과학 교사 PCK 개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the forage process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of rye. Rye was grown at the Taeyoung Livestock farm and harvested at the heading stage. The harvested rye (5 kg) was sub-sampled for fresh forage, hay, and silage in triplicates. The sub-sampled rye was freeze-dried or air-dried for fresh forage or rye hay, respectively. For rye silage, the sub-sampled rye forage was ensiled into a 10 L mini bucket silo and stored for 90 days. For 72 h rumen incubation, each forage (0.3 g) was placed into the incubation bottle with the rumen mixture (30 mL) in quadruplicates. After the incubation, total gas was measured and sub-sampled for CO2 and CH4 analyses, and the bottle content was centrifuged for in vitro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IVDMD) and neutral detergent fiber (IVNDFD), and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Silage had higher crude protein, crude ash, and acid detergent fiber concentrations than fresh forage and hay but lower non-fiber carbohydrates and relative feed value (p<0.05). And, silage had higher lactic acid bacteria than the other forages but lower pH (p<0.05). After 72 h incubation in the rumen, fresh forage had higher IVDMD and butyrate content than the other forages (p<0.05). However, silage had higher rumen pH and propionate content than the other forages but lower A:P ratio (p<0.05). Regarding greenhouse gases, silage had lowest total gas (mL/g DMD and NDFD) and CH4 (mL/g DMD and NDFD) emissions, while fresh forage had lowest CO2 (mL/g DMD) emission (p<0.05).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ensiling process of rye can effectively mitigate greenhouse gas emissions of Hanwoo.
PURPOSES : We propose a framework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integrating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mobility data to produce the various data required for greenhouse gas emission estimation. METHODS : The mobility data used in the framework were collected at a fixed time from a specific point and were based on raster data. In general, the traffic volume for all traffic measurement points over 24 h can be considered raster data. In the future, the proposed framework can be applied to specific road points or road section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raster data. RESULTS : The activity data required to calculate greenhouse gas emissions were derived from the mobility data analysis. With recent developments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mobility data collected from different sources with the same collection purpose can be integrat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previously unknown or inaccurate information. CONCLUSIONS : This study will help assess the reliability of mobility data fusion as it is collected on the road, and will ultimately lead to more accurate estimate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시설재배 딸기의 화분매개에 꿀벌 사용이 보편화되어있지만 동양종(A. cerana) 꿀벌의 화분매개효과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딸기에서 동양종 꿀벌의 화분매개자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닐하우 스 딸기에서 서양종 꿀벌과 화분매개행동 특성을 비교하였다. 향후 봉군 수명과 착과된 딸기의 기형과율품질을 평가 할 예정이다. 서양종과 동양종 꿀벌은 10시 이후부터 활동량이 증가하고, 13시에 방화활동이 가장 활발하였 으며 이후부터 감소하는 일주행동 패턴을 보였다. 서양종과 동양종 꿀벌 활동성은 모두 온도, 조도, 자외선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상대습도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특히 서양종 꿀벌은 온도, 조도, 자외선이 같은 수준의 상관(r=0.7)을 보이는 것에 반해, 동양종 꿀벌의 경우 온도와 습도보다 광조건(조도, 자외선)에서 더 높은 상관계수(r>0.9)가 나타났다. 서양종과 동양종 꿀벌의 방화특성을 조사한 결과 꽃에 머무는 시간은 서양종 꿀벌 이 평균 6.9초, 동양종 꿀벌이 7.0초로 같은 수준이었으나(p>0.05), 꽃 간 이동시간은 동양종 꿀벌이 2.4초로 서양 종꿀벌(3.1초)보다 20% 유의미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1). 따라서 같은 시간에 동양종 꿀벌이 서양종 꿀벌보다 더 많은 꽃을 방문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o control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a significant pest of peppers, the control effects of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ere tested when treated alone and in combination. The control effects of yellow sticky roll traps installed on the stem, predatory natural enemy (Hypoaspis miles) inoculated on the stem, and plant extracts (50% custard apple seed oil + 10% cinnamon extract) sprayed on the foliage were 45.3%, 36.6%, and 50.2%, respectively, when treated individually. Meanwhile, when three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ere comprehensively applied, the control effect was maintained between 62.4% and 80.9% compared to untreated conditions during the pepper harvesting season. These methods can be utilized for the eco-friendly control of western flower thrips in pepper greenhouses.
Major pests of greenhouse strawberry include Tetranychus kanzawai (Acari: Tetranychidae) and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causing significant damage in both yield and quality. We compared control efficacy of two entomopathogenic fungus strains of Beauveria bassiana, AAD16 and GHA, against T. kanzawai and B. tabaci. Both fungus were applied as a foliar spray targeting the undersides of leaves. In preliminary studies in the laboratory, adult T. kanzawai and B. tabaci showed lower LT50 values when treated with AAD16 strain compared to GHA. In the greenhouse, the densities of the both mites (adult and nymph) and whiteflies (adult) were significantly reduc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two fungus strain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mycosis rate was 88-94% in T. kanzawai and 48-59% in B. tabaci on collected leav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eauveria bassiana AAD16 can be an effective mycoinsecticide against both T. kanzawai and B. tabaci.
The continuous use of pesticides with the same mode of action has lead to the development of insecticide resistance in the target pests. Establishing pesticide resistance management methods and effective control strategies for these pests has become an important target. Bemisia tabaci, a representative pest of greenhouse, directly affects the growth of crops at all stages of its development except eggs. It also causes indirect damage by secreting honeydew that eventually promotes sooty mold in leaves and fruits. In this study, eight insecticides with different mechanisms of action (Flonicamid, Fluxametamide, Spinetoram, Cyantraniliprole, Dinotefuran, Pyridaben, Milbemectin and Pyriproxyfen), and registered for use against cucumber B. tabaci were selected and tested for insecticide resistance. The tested populations of B. tabaci were collected from greenhouse cucumber cultivations in 12 domestic regions.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RR (Resistance ratios), and CEI (Control efficacy index) values.
담배가루이는 전세계의 온대 및 아열대 지방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시설재배작물의 주요 해충 이다. 1998년 충북 친천군 장미재배지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담배가 루이는 고추, 토마토, 오이 등 300종이 넘는 넓은 기주범위를 가지며, 식물체를 흡즙하여 작물의 생산성을 저하시 키고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등 100여종이 넘는 바이러스를 매개한다. 담배가루이는 주로 살충제를 이용한 방제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살충제를 이용한 방제법은 살충제 저항성 개체 를 발생시킨다. 살충제 저항성 개체가 발생하게 되면 방제 효율이 급감하여 농가에 추가적인 경제적 피해를 야기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지역별 담배가루이를 대상으로 약제별 살충제 저항성의 발생 현황을 조사하여, 지역별 효과적인 약제를 탐색하고 향후 방제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담배가루이는 전국 15지역(파주, 양평, 화성, 양구, 횡성, 평창, 당진, 천안, 공주, 예천, 구미, 사천, 남원, 나주, 고흥)에서 채집되었다. 살충제는 작용기작 별 사용량이 많은 8종을 선정하였으며, 엽침지법을 사용하여 살충률을 확인하였다. 곤충생장조절제(insect growth regulators, IGR) 피리프록시펜계 약제는 알을 대상으로, 그 외 7개 약제는 2령약충을 대상으로 살충률을 확인하였 다. 모든 지역에서 높은 살충력을 보인 약제는 아버멕틴과 밀베마이신계, 스피노신계, METI살충제, 디아마이드 계 약제이다. 특히 아버멕틴과 밀베마이신계 약제는 살충제 권장사용농도(10ppm)보다 낮은 8.9ppm이하의 LC90 값을 보여 감수성으로 추정되며, 예외적으로 천안 지역의 25.6ppm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LC90값을 보였다. 낮은 살충력을 보인 약제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설폭시민계, 피리프록시펜계, 테트론산 및 테트람산 유도체 약제이 다 특히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는 모든 지역에서 살충제 권장사용농도(50ppm)보다 높은 715ppm이상의 LC90 값을 보여, 모든 지역에서 살충제 저항성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험결과를 통해 살충제 별 살충력의 차이와 지역별 살충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별/약제별 저항성관리 및 대응전략을 수립하여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Yellow flower thrips (WFT), Frankliniella occidentalis is mainly controlled using chemical control methods. But the continuous use of chemical pesticides in greenhouse ma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insecticide resista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eleven insecticides against the WFT occurring in greenhouse pepper cultivation in the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showed no resistance in treatments with emamectin benzoate, fluxametamide, and flometoquin while high levels of resistance were recorded in treatments with acrinathrin, acetamiprid, and dinotefuran. The Anseong and Yeoju population was more resistant against spinetoram and chlorfluazuron, respectively, than populations from other regions.
Density survey should be carried out for applying integrated pest management strategies, but it is labor-intensive, time- and cost-consuming. Therefore, binomial sampling plans are developed for estimating and classifying the population density of whiteflies late larva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 density per sample unit (7 leaflets) and the proportion of leaflets infested with less than T whiteflies ( ). In this study, models were examined using tally thresholds ranging from 1 to 5 late larvae per 7 leaflets. Regardless of tally thresholds, increasing the sample size had little effect on the precision of the binomial sampling plan. Based on the precision of the model, T=3 was the best tally threshold for estimating the densities of late larvae. Models developed using T=3 validated by Resampling Validation for Sampling Plan program. Above all, the binomial model with T=3 performed well in estimating the mean density of whiteflies in greenhouse tomato.
The series compounds from natural products are an effective repellent and deterrent against various kinds of pest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patial repellency of fifteen compounds from natural products on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 Tetranychidae), in the laboratory and field by using two-choice and no-choice bioassays. In laboratory two-choice tests, six compounds displayed active spatial repellency against female adult mites at a 2mg dose. The repellency of each compound was also as effective as the 6-compound blend. Three of the six compounds showed the predominant repellent activity (over 90%) that lasted for at least 3 days in laboratory no-choice tests. In a field test, we found that the number of T. urticae was fewer in strawberry seeding treated lure with 2mg of these compounds than in strawberry seeding treated lure with solvent control. Given that the findings are efficacious, economical, and natural products, they can be used in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 urticae in greenhouse.
시설 고추 주요 해충인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의 방제를 위해 유기농업자재들의 단독 처리 및 종합 투입시 방제 효과를 검정 하였다. 황색끈끈이롤트랩은 지제부에 설치하고, 포식성 천적(Hypoaspis miles)은 지제부에 접종하며, 식물추출물(커스터드애플시드 오일 50% + 계 피 추출물 10%)은 경엽살포하는 방식으로써 각각의 단독 처리시 방제 효과는 45.3, 36.6, 50.2%였다. 한편, 3종의 유기농업자재들을 종합 투입했을 경우 고추 수확기 방제 효과가 무처리 대비 62.4~80.9%로 유지되어, 시설 고추 꽃노랑총채벌레 친환경 방제용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을 활용한 참외 접목 묘의 안정적인 생산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과 고온 조건의 플라스틱 온실에서 육묘 한 접수와 대목, 접목묘의 생육을 비교 분석하였다. 접목활착 후 육묘 환경에 따른 참외 접목묘의 생육과 묘소질을 0일, 4일, 7일, 11일, 14일째에 비교하였다.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에서 는 주야간 온도를 25/20°C, 상대습도를 70%로 설정하여 재 배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하였으며, 플라스틱 온실 내의 주야간 평균온도는 28.1/15.4°C로 주야간 온도차(DIF)가 더 크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참외 접목묘의 초장은 플라스 틱 온실 육묘 처리구에서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 처리구보다 더 길게 나타났다. 참외 접목묘 조직의 충실도는 지상부 건물 중을 초장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육묘장에서 접목한 묘는 접목 후 7-10일 경과하여 활착이 완료되고 초장이 10cm 내 외일 때 출하하여 정식에 이용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접목활 착 후 7일째에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에서 재배된 묘의 충실도 는 44.9±2.64mg/cm으로 나타났으며, 플라스틱 온실 육묘 처 리구에서는 24.4±1.56mg/cm로 나타났다. SPAD 평균은 플 라스틱 온실 육묘에서 30.5,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에서 41.1 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의 활용 이 고온기 또는 저일조 시기와 같은 육묘 환경에서도 고품질 모종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인공광 을 이용한 육묘 시스템의 활용 범위가 앞으로 더 확대될 것으 로 기대된다.
Agriculture is a pivotal player in the climate change narrative, contributing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while offering potential mitigation solutions. This study delved into agriculture’s climate impact. It comprehensively analysed emissions from diverse agricultural sources, carbon sequestration possibilities, and the repercussions of agricultural emissions on climate and ecosystems. The study began by contextualising the historical and societal importance of agricultural GHG emissions within the broader climate change discourse. It then discussed into GHG emitted from agricultural activities, examining carbon dioxide, methane, and nitrous oxide emissions individually, including their sources and mitigation strategies. This research extended beyond emissions, scrutinising their effects on climate change and potential feedback loops in agricultural systems. It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implications of emissions reduction policies in agriculture. In addition, the review explored various avenues for mitigating agricultural emissions and categorised them as sustainable agricultural practices, improved livestock management, and precision agriculture. Within each category, different subsections explain innovative methods and technologies that promise emissions reduction while enhancing agricultural sustainability. Furthermore, the study addressed carbon sequestration and removal in agriculture, focussing on soil carbon sequestration, afforestation, and reforestation. It highlighted agriculture’s potential not only to reduce emissions, but also to serve as a carbon reservoir, lowering overall GHG impact. The research also scrutinised the multifaceted nature of agriculture, examining the obstacles hindering mitigation strategies, including socioeconomic constraints and regulatory hurdles. This study emphasises the need for equitable and accessible solutions, especially for smallholder farmers. It envisioned the future of agricultural emissions reduction, emphasising the advancements in measurement, climate-smart agricultural technologies, and cross-sectoral collaboration. It highlighted agriculture’s role in achieving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amid a warming world, advocating collective efforts and innovative approaches. In summary, this comprehensive analysis recognised agriculture’s capacity to mitigate emissions while safeguarding food security, biodivers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t presents a compelling vision of agriculture as a driver of a sustainable and resilient future.
이 연구는 1세대 스마트 온실의 재배환경 데이터와 장미 절 화의 품질 특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요인들 간의 상관 관계 를 분석하여 절화수명 예측 및 최적 환경 조성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토경재배(SC) 및 암면배지경 양액재배(RWH) 하우스 각 1개소를 선정하여 1년간 기온, 상 대습도(RH) 및 수증기압차(VPD), 일적산광량(DLI), 근권온도 등의 환경 데이터와 매월 말 수확된 장미 ‘Miss Holland’ 절 화의 품질 특성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 데이터와 절화수 명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절화수명은 10월과 11월을 제외하고는 SC 하우스에서 RWH 하우스보다 더 길었다. 절 화수명과 환경 및 생육 특성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SC 하우 스의 상관계수는 RWH 하우스보다 조금 더 높았으며, 절화수 명 예측을 위한 요소들도 두 하우스 간에 차이가 있었다. SC 하우스의 절화수명 Y=0.848X1+0.366X2-0.591X3+2.224X4- 0.171X5+0.47X6+0.321X7+9.836X8-110.219(X1-X8: 최고 RH, RH 일교차, DLI, pH, Hunter’s b value, EC, 절화 장, 잎 두께; R2=0.544)로 예측되었고, RWH 하우스의 절화수명 Y=-1.291X1+52.026X2-0.094X3+0.448X4-3.84X5+0.624X6 - 8.528X7+28.45(X1-X7: 경경, 야간 VPD, 최고 근권온도, 최 저 근권온도, 기온 일교차, RH 일교차, 최고 VPD; R2=0.5243) 로 예측되었다. 이 두 모델식으로부터 SC 하우스에서는 RH, EC 및 pH가, 그리고 RWH 하우스에서는 근권 온도가 절화수명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재배 방법에 따라 장미의 절화수명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