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집단적 PCK 관점에서 학생들의 지구과학 개념 이해에 대한 질적 메타 분석: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 개념을 중심으로 KCI 등재

Qualitative Meta-analysi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Earth Science Concepts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ctive PCK: Focusing on the Concepts of Greenhouse Effect,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4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교육 연구 논문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 분석을 통해 집단적 PCK (cPCK) 중 ‘특정 과 학 주제(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 이해 지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 대체 개념(오개념)과 관련된 지구과학 교육 연구 논문 22편을 선정하여 각각의 정의, 원 인(매커니즘), 그리고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기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 정신모형틀을 적용하 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실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 화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온실 기체의 종류를 제한적으로 알고 있고, 온실 기체의 역할을 이해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실 효과의 발생을 환경오염이나 오존층의 변화와 관련지어 생각하고, 지표-대기의 열수지 평형과 온실 효과를 관련짓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지구 온난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지구 온난화를 해수면 상승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구 온난화의 발생을 환경오 염, 오존층의 변화, 빙하의 융해와 관련지어 생각하고, 지표-대기의 열수지 평형이 깨져 지구 온난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지구 온난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를 지구 온난화, 기상 변화, 기상 이변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 로 분석되었으며, 기후변화의 발생을 대기오염, 오존층의 파괴와 관련지어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후변화 가 우리 생활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 을 통해 종합한 결과, 집단적 PCK로서 3가지 정신모형(범주적 오해, 기제적 오해, 위계적 오해)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 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과학 교사 PCK 개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research papers on earth science education to derive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specific science topics—greenhouse effect,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within the context of collectiv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wenty-two research papers addressing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misconceptions) about these topic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their respective definitions, causes (mechanisms), and impacts.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a mental model framework were applied to synthesize the findings. The meta-analysis revealed several key insights: (1) Regarding the greenhouse effect, students often used the terms “greenhouse effect” and “global warming” interchangeably, lacked knowledge about the types of greenhouse gases, and misunderstood their roles. They commonly associated the greenhouse effect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or changes in the ozone layer, failing to recognize its relation to the heat balance between the surface and atmosphere. (2) Concerning global warming, students confused it with sea level rise and linked it to pollution, ozone layer changes, and glacier melting. They understood global warming as a disruption of the heat balance between the surface and atmosphere but had misconceptions about its environmental impacts. (3) In terms of climate change, students used the term interchangeably with global warming, weather change, and climate anomalies. They associated climate change with atmospheric pollution and ozone layer depletion but misunderstood its environmental impacts. As result, three mental models—categorical, mechanistic, and hierarchical misconceptions—were identified as collective PCK. The implications for enhancing earth science teachers’ PCK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목차
서 론
연구 내용 및 방법
연구 주제 선정
    연구 주제와 관련된 교육 연구 논문 검색
    연구 논문 분석 및 언어 네트워크 분석
    종합 결과의 표현
연구 결과 및 논의
    온실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 메타 분석결과
    온실 효과의 정의에 대한 대체 개념
    온실 효과의 메커니즘에 대한 대체 개념
    지구 온난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 메타 분석 결과
    지구 온난화의 정의에 대한 대체 개념
    지구 온난화의 메커니즘에 대한 대체 개념
    지구 온난화의 영향에 대한 대체 개념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 메타 분석결과
    기후변화의 정의에 대한 대체 개념
    기후변화의 매커니즘에 대한 대체 개념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대체 개념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종합 결과의 표현
결론 및 제언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김권중(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과, 2434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 Kwon Jung Kim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24341, Korea)
  • 최의선(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과, 2434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 Eui Seon Choi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24341, Korea)
  • 김호준(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과, 2434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 Ho Jun Kim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24341, Korea)
  • 박재용(서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 Jae Yong Park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06639, Korea)
  • 이기영(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과, 2434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 Ki Young Le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24341,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