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등학교 교사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그릿(grit), 스트레스, 삶의 만족 간의 관계 KCI 등재

Relationships among High School Teachers’ Positive Emotions, Negative Emotions, Grit,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23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그릿, 스트레스,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52명의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척도, 그릿 척도, 스트레스 척도, 삶의 만족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은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했다. 둘째, 그릿은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했다. 셋 째, 스트레스는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했다. 넷째, 그릿과 스트레스는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교 교사들의 삶의 만족을 높이려면 교사들이 긍정정서를 많이 경험하고 부정정서를 적게 경험하도록 하며, 그릿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낮추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high school teachers' positive emotions, negative emotions, grit,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ree hundred and fifty two high school teachers completed th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Grit Scale, Perceived Stress Scale,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i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from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to life satisfaction. Second, gri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from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to stress. Third,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from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to life satisfaction. Fourth, grit and stress doubly mediated the relation from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to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high school teachers'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help them experience more positive emotions and less negative emotions, raise grit, and reduce stress.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와 삶의 만족의 관계
  2.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와 그릿의 관계
  3.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와 스트레스의 관계
  4. 그릿과 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의 관계
  5.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그릿, 스트레스, 삶의 만족 간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연구결과
  1. 상관분석
  2. 경로분석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권대훈(안동대학교) | Kwon Dae-Hoon (Ando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