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통제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수원, 청주, 홍성지역의 만3-5세 유아를 둔 부 195명, 모 221이며 사용된 측정도구는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통제적 양육행동 그리고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세 가지의 척도이다. 자료 분석은 SPSS Windows 21.0와 Amo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기술통계, Pearson 상관관계 그리고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정서조절양식은 부의 경우 능동적, 회피분산적,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이, 모의 경우 능동적, 회피분산적 정서조절 양식이 통제적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부모의 정서조절양식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의 경우 능동적, 회피분산적 그리고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이 통제적 양육행동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모의 경우 능동적 그리고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통제적 양육행동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s' emotion regulation styles and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re 195 fathers and 221 mothers with preschoolers, which is located in the Suwon, Cheonju, and Hongsung City. The parents' emotion regulation styles measure, the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measure, and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measure were utilized as the measurement tool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SPSS Windows 21.0 and Amos 7.0 program was utiliz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father, active, avoidant-distractive and support-seeking emotion regulation style influenced directly on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whereas mother, active and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influenced directly on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Second, parents'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influenced directly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Third, parents'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 regulation styles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In the case of father, active, avoidant-distractive and support-seeking emotion regulation styl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 through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whereas mother, active and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 through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