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통 안료로 사용된 구리함유 녹색광물의 광물학적 특성과 산지추정 KCI 등재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of Cu-bearing Green Minerals Used as Traditional Pigm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41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채색문화재에 사용된 녹색안료 석록을 국내 산출 석록원광 및 수입산 석록원광과 비교하여 석록의 산지에 대한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채색문화재의 화학적, 광물학적 특성을 휴대용 X선형광(p-XRF), 미소부 X선회절과(micro XRD) 주사전자현미경/에너지분산스펙트로메터(SEM/EDS) 분석으로 규명하였다. 석록에 함유되어 있는 납을 열이온화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납동위원소비를 구하였다. 채색문화재 중 단청의 석록에서는 atacamite (or botallackite)와 소량의 brochantite, 불화에서는 이외에 malachite가 동정되었다. 종류를 불문하고 채색문화재에 사용된 석록은 Cu와 Cl로 이루어진 atacamite가 대부분이다. 납동위원소비 분석에서는 채색문화재 내 석록이 Mabuchi가 제안한 동북아에 대한 지역별 구분에서 한국남부지역보다 한국북부지역과 중국북부지역 그리고 일본 것과 유사하다. 국내 산출 녹색광물의 납동위원소비는 채색문화재 내 석록의 분포 안에 속하나 수입산 공작석은 큰 차이를 보였다. 채색문화재 내 석록의 주광물인 atacamite가 한반도 남쪽 광산에서는 매우 드물게 산출되는 것과 납동위원소비 결과를 종합할 때 우리나라 채색문화재에 사용 된 석록이 한반도 이남에서 산출되었을 가능성은 적다.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clue to Seokrok province by comparing Seokrok used in painting culture properties with Seokrok ore from domestic occurrence and imported Seokrok ore. To this end, 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painting cultural properties were identified with portable X-ray Florescence (p-XRF), micro X-ray diffraction (micro XRD) and SEM/EDS Analysis. To obtain Pb isotopic ratio, the Pb contained in Seokrok has been analyzed with 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Atacamite (or botallackite) and small quantity of brochantite were identified from Seokrok in Dancheong, and malachite was also identified from Buddhist painting besides those two ingredients. Without distinction of type, most Seokrok used in painting cultural properties is atacamite composed of Cu and Cl. From Pb isotop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okrok in painting cultural properties was closer to that of north Korea, north China and Japan than south Korea as in regional division for East North Asia suggested by Mabuchi. The Pb isotopic ratio of domestic green mineral belongs to the distribution of Seokrok inside the painting cultural properties but imported malachite showed considerably difference. Considering the fact that atacamite, the main mineral of Seokrok in painting cultural properties is rarely produced from southern min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esult of Pb isotope analysis.

목차
요약
 ABSTRACT
 서 언
 연구 방법
 연구결과
  채색문화재 석록부위와 원광의 화학성분과 광물성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
 토 의
 결 론
 REFERENCES
저자
  • 도진영(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 Jin-Young Do (Department of Cultural Properties, Gyeongj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정종미(Color Institute, Korea University) | Jongmee 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