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for Mandarin Preserv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705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산업식품공학회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초록

감귤(Citrus unshiu Marc.)에 활성칼슘수용액과 grapefruit seed extract (GSE)코팅을 병합 처리한 후,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를 통해 Penicillium digitatum (P. digitatum)에 대한 저해효과를 확인하였고, 저장 기간 동안에 감귤의 이화학적 특성과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감귤은 0.2% 활성 칼슘 수용액(0.2% CaO/distilled water(w/w), CaO)으로 3분간 침지세척 후, GSE (1% w/ 카나우바 왁스 w)와 Tween-80 (25% w/GSE w)을 혼합하여 10,000 rpm에서 2분간 균질화시킨 에멀젼 용액으로 코팅(GSE 코팅)되었다. 무처리 감귤, GSE 코팅처리 감귤, 그리고 CaO-GSE 코팅처리 감귤(0.2% 활성칼슘 수용액으로 세척 후, GSE 코팅 처리된 감귤)은 nylon/low-density-polyethylene(N/LDPE) 포장지에 담은 후 진공포장기를 이용하여 각각 air와 MA (O2: CO2: N2 = 9.9±0.2: 2.1±0.1: 88.0±0.3)로 포장하였고, 포장된 감귤들은 4°C에서 35일, 25°C에서 14일간 저장되었다. CaO-GSE 코팅 감귤 (MAP)의 호흡률은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무처리 감귤과 GSE 코팅 감귤에 비해 낮았고, 가장 효과적으로 N/LDPE 포장지 내의 가스조성을 유지하였다. GSE 코팅 또는 CaO-GSE 코팅 처리는 포장기체 조성에 관계없이 감귤의 경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또한, CaO-GSE 코팅(MAP)의 당도는 GSE 코팅(air와 MAP)에 비해 무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적었으며, CaO-GSE 코팅(MAP)는 pH를 무처리구와 GSE 코팅에 비해 각각의 저장온도에서 연속적으로 유지하였다. 저장기간과 저장온도, 그리고 기체조성에 관계없이 CaO-GSE 코팅 (MAP)는 무처리구 또는 GSE 코팅보다 감귤의 적정산도, 아스코브산 농도, 총 페놀 함량, 그리고 항산화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CaO-GSE 코팅 (MAP)의 황색도는 저장온도와 저장일자에 관계없이 무처리구(MAP)의 황색도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험한 CaO-GSE 코팅(MAP)는 저장기간 동안 감귤의 이화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것이다.

저자
  • 최하영(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남희수(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민세철(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