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xnip와 대사적 조절이 생쥐 난자의 cytoplasmic streaming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470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발생생물학회 (The Korea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초록

Txnip는 Thioredoxin (Trx)과 결합하여 그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세포 내의 산화환원 환경을 조절하고, Txnip를 과발현시키면 Trx와는 독립적으로 glucose uptake와 lactate output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난자 내에서의 역할은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RNA interference (RNAi)를 이용하여 난자 내의 Txnip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Txnip가 생쥐 난자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ICR 생쥐에 PMSG를 주사하고 44시간 후에 cumulus-oocyte complex(COC)형태의 GV 난자를 채취하였다. Cumulus cell을 물리적으로 제거한 후 Txnip dsRNA를 GV난자의 세포질 내에 미세 주입하여 Txnip RNAi를 수행하였다. 0.2mM IBMX가 첨가된 M16 배양액에서 24시간 배양 후 plain M16 배양액에서 16시간 배양하면서 난자의 성숙율과 표현형을 관찰하고, 염색체와 spindle의 모양은 immunofluorescence staining으로 동시에 관찰하였다. Time-Lapse imaging으로 cytoplasmic streaming, polar body emission 등의 표현형 및 시간차 등을 비교하였다. Txnip RNAi 결과, Txnip RNAi 된 난자는 MI 단계에서 정지하는 표현형을 보였고, 세포질이 응축되고, 난자 중심부에 spindle과 염색체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뭉쳐서 존재함을 관찰하였다. IBMX 배양액 안에서 Txnip knockdown이 시작될 때 이미 난자의 세포질 안에 과립형성이 증가하고 cytoplasmic streaming이 어려워지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세포질의 rigidity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Txnip은 lactate의 생산을 억제하기 때문에 Txnip 발현을 억제시키면 반대로 세포 내 lactate 생산이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어, 본 연구진은 lactate의 농도를 높인 배양액에서 난자를 배양하였다. 이 때 시간이 지날수록 난자의 중심부에 과립이 형성되는 현상 즉, Txnip RNAi를 수행한 난자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유사한 표현형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Txnip가 난자 성숙과정에서 lactate의 생성과 관련하여 작용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따라서 Txnip의 감소로 증가된 lactate로 인해 glycogen granule이 과형성되고, 그 결과 cytoplasmic streaming이 현저히 줄어들면서 spindle과 염색체의 이동이 방해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생쥐 난자의 포도당 대사와 Txnip의 연관성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생쥐 난자의 대사적 조절기전과 난자 성숙과의 연관 관계를 규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저자
  • 이수연(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 이현서(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 김은영(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 이우식(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 윤태기(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 이경아(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