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도 내 점개구리밥(Landoltia punctate) 분포와 생태계 위해성 평가 KCI 등재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Ecosystem Risk Assessment of Dotted Duckweed (Landoltis punctate) in Jeju Island,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49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제주도 지역에서 처음 발견된 점개구리밥의 분포와 서식생물상에 대한 점개구리밥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제주도 내 43개 습지 및 하천에서 환경요인과 서식생물상을 조사하였다. 점개구리밥은 43개 중 총 18개 조사 지역에서 출현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지역에서는 점개구리밥 외 수생식물의 생물량은 낮은 편이었다. 점개구리밥 등 수생식물과 환경요인에 대한 서식생물상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SOM(Self-Organizing Map)을 활용한 패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동물플랑크톤 등 서식생물상은 환경요인보다는 수생식물의 생물량에 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점개구리밥의 생물량은 부착성 종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주도 내 하천 및 습지는 수원이 일정하지 않고 수위변화가 급격하여 수생식물의 현존량이 적은 점을 감안하면, 제주도 지역의 교란 특성에 비교적 강한 점개구리밥은 서식생물상(동물플랑크톤 등)에게 서식처로서 중요하게 적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점개구리밥의 점유 공간 내 유기물이 서식동물상의 먹이원으로 활용되는 점 등을 볼 때 점개구리밥은 서식처인 동시에 먹이터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록 점개구리밥의 밀생이 그늘 효과 등으로 일부 수생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것은 부유식물이 수표면에 우점하는 특성 때문이며, 점개구리밥의 위해성이라 판단하기는 어렵다. 결론적으로 점개구리밥은 제주도 지역 내 대부분의 수계에서 확산 및 정착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서식생물상 및 수중 환경 내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제주도 지역 외 내륙에서의 점개구리밥 분포 및 확산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W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inhabiting biota such as macrophytes and zooplankton in 43 sites located on Jeju Island from May and June 2017 to evaluate the spread and ecosystem risk of dotted duckweed (landoltia punctata) which was recently found for the first time in Jeju Island. Dotted duckweeds were found in a total of 18 sites which tended to show low biomass of aquatic macrophyte species other than the dotted duckweed. We conducted a pattern analysis using SOM (Self-Organizing Map), which extracts information through competitive and adaptive properties, to analyze the effect of inhabiting biota on aquatic macrophytes such as the dotted duckweed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SOM analysis showed that the inhabiting biota such as the zooplankton affected the biomass of aquatic macrophytes than they did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particular, the biomass of dotted duckweed was positively related to plant-attached species (Alona, Chydorus, and Pleuroxus). Considering that low density of aquatic macrophytes covers the streams and wetlands on Jeju Island because of irregular water source and sharp change of water depth, the dotted duckweeds are likely to play an essential role as the vital habitat for micro-biota including zooplankton in wetlands and streams on Jeju Island.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organic matters are utilized as the primary food source in the areas occupied by dotted duckweed, dotted duckweeds have the role of being both habitat and food source. Although the dense growth of dotted duckweed adversely affects growth and development of some aquatic plants due to the shadow effect, it is due to the dominance of floating plants on the water surface should not be regarded as the risk of the dotted duckweed. In conclusion, the dotted duckweeds have spread and settled in most of the water systems on Jeju Island, their impact on inhabiting biota and the aquatic environment was minor.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distribution and spread of dotted duckweeds in the inland areas outside of Jeju Island in the future.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제주도 수계의 특징 및 조사지역, 시기
  2. 점개구리밥 분포 및 서식생물상 조사
  3. 서식생물상의 안정동위원소 분석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점개구리밥의 일반적인 특성
  2. 점개구리밥 분포와 서식환경
  3. 점개구리밥에 대한 서식생물상의 영향
  4. 점개구리밥 점유 공간 내 유기물의 활용 현황
  5. 점개구리밥 정착 및 확산 특성
  6. 관리방안
 REFERENCES
저자
  • 최종윤(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Jong-Yun Choi (Division of Ecological Assessment,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교신저자
  • 김남영(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Nam-Young Kim (Division of Ecological Conservatio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류태복(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Tae-Bok Ryu (Division of Ecological Conservatio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최동희(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Dong-Hee Choi (Division of Ecological Conservatio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김덕기(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Deokki-Kim (Division of Ecological Conservatio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김성기(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Seong-Ki Kim (Division of Ecological Assessment,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