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동세포계수법을 이용한 물오리나무와 수우물오리의 염색체 배수성 연구 KCI 등재

Polyploidy in Alnus incana subsp. hirsuta and Alnus incana subsp. tchangbokii using Flow Cytomet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3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국내 자생종인 물오리나무(Alnus incana subsp. hirsuta(Spach) A. Lö ve & D. Lö ve)와 수우물오리(Alnus incana subsp. tchangbokii Chin S. Chang & H. Kim)는 형태학적인 차이로 식별 가능하지만, 유전학적인 차이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플라보노이드 분석 자료와 DNA자료에 근거하여 수우물오리가 물오리나무의 배수체라는 가설이 제기된 바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인근 관악산에서 물오리나무 21점, 수우물오리 24점의 잎을 채집하여 유동세포계수법(flow cytometry)을 통해배수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물오리나무는 2배체와 4배체가 나타난 반면, 수우물오리는 2배체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가설과 달리 수우물오리의 형태학적 특성은 배수성에서 기인하는 것이아니며, 배수성을 통해 수우물오리와 물오리나무를 동정할 수는 없다는 것을 밝혀냈다. 물오리나무의배수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lnus incana subsp. hirsuta(Spach) A. Löve & D. Löve and Alnus incana subsp. tchangbokiiChin S. Chang & H. Kim are indigenous tree species in Korea. They are distinguished bymorphological characters, but their genetical differences have not been founded yet. However,based on flavonoid chemistry and DNA data, the hypothesis that A. incana subsp. tchangbokii isa tetraploid of A. incana subsp. hirsuta has been proposed. To test the hypothesis, we collectedleaf samples from 21 individuals of A. incana subsp. hirsuta and from 24 individuals of A. incana subsp. tchangbokii in Kwanak Mountain near b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s aresult, A. incana subsp. hirsuta showed both diploid and tetraploid, but A. incana subsp. tchangbokii has only diploid. It means the differences between two spices are not caused bypolyploid, and it is not possible to distinguish them cytogenetically in this study. The studyabout polyploid of A. incana subsp. hirsuta is additionally needed.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공시재료
  2 유동세포계수법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저자
  • 김양길(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Yang-Gil Kim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주환(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Ju-Hwan Park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윤서경(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Seo-Kyung Yoon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Korea Forest Service)
  • 박지민(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Ji-Min Park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강규석(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Kyu-Suk Kang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