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요리 치료 활동이 학령기 뇌병변 장애 아동의 실행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ooking Therapy Program on School-aged Brain lesions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5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 and School)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 and School)
초록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요리 치료 활동이 학령기 뇌병변 장애 아동의 실행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 연구방법 : 본 프로그램은 학령기 뇌병변 남자 아동 6명을 대상으로아동이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요리치료 활동(12회기)으로 구성되었다. 활동 중 실행 기능 증진을 위해 단서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치료 전후 실행 기능의 비교를 위하여 운동 처리 기술 평가(AMPS)를 사용하였다. 처음과 마지막 회기를 제외한 10회기 동안 제공된 단서의 양과 수준을 분석하였고, 사회성숙도 검사, AMPS, 단서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 결과 : AMPS 평가 결과 모든 아동의 실행 기능이 증진되었으며, 3명의 아동에게서 유의미한 기능 증진이 나타났다. 제공된 단서의 양(21.33회에서 7.25회)과 수준(3.50에서 2.00)은 후반기로 진행될수록 감소되었다. 상관관계 조사 결과 사회성숙도는 AMPS 처리 기술(p<.05), 단서의 양(p<.01), 단서의 수준(p<.01)이 서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고, AMPS 처리 기술은 단서의 양(p<.05), 단서의 수준(p<0.5)과 음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결론 : 단서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요리 치료 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행 기능이 증진되었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단서의 양과 수준도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추후 작업-지향적 활동으로서 요리 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실행 기능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cooking therapy on executive function of school-aged brain lesions children.
◉ Methods : The participants of this therapy program were 6 brain lesions boys. This program consists of Occupational-based cooking activities in 12 sessions. Cueing system was used to improve executive function. Executive function was assessed by AMPS. Quantity and level of cue were recorded. And, relation between social maturation scale, AMPS, and cue(quantity, level) were analysed.
◉ Results : After treatment, all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creased, and 3 of them changed significantly. Quantity of cue decreased from 21.33(first) to 7.25 times(last), level of cue decreased from 3.50 to 2.00. Social maturation scales was correlated with AMPS process skill(p<.05), quantity of cue(p<.01), level of cue(p<.01). AMPS process skil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quantity of cue(p<.05), level of cue(p<.05).
◉ Conclusion : Cooking therapy program with cueing system was effective to executive function, and decreasing both quantity and level of cue. Cooking therapy program as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will be expected to play role to improve executive function.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 도구 및 방법
  3. 요리 치료 활동
  4. 분석 방법
 III. 연구결과
  1. 실행 기능
  2. 단서 제공
  3. 사회성숙도, 실행 기능, 단서의 상관관계
 IV. 고 찰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민경철(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Min, Kyoung Chul 교신저자
  • 박유진(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Park, Yu Jin
  • 문용선(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Moon, Yong S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