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온돌의 문화적 과학적 가치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6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국제온돌학회 (International Journal of Ondol)
초록

세상에는 다양한 난방방식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난방은 열의 복사나 대류를 이용하여 방 공기를 데운다. 실내 온도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 방식들은 보온과 단열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반면에 온돌은 열전도 즉 접촉으로 난방하기 때문에 방바닥의 축열 능력이 강조된다. 이러한 온돌 방식은 특유한 실내 환경을 조성한다. 즉 바닥에 저장된 열기에 직접 접촉하기 위해 사람들의 일반 활동들이 방바닥 가까이에서 이루어지게끔 한 것이다. 또한 온돌은 실내의 상부가 더 따듯한 다른 난방방식과 달리, 실내의 하부가 따뜻하고 상부가 차가운 환경을 조성한다. 이러한 환경은 한국 사람들이 추구하는 최상의 건강 환경인 두한족열(頭寒足熱)과 일맥상통한다. 이렇듯 온돌은 한국 사람들의 생활 문화와 그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쳐왔다.

목차
1. 서론
 2. 난방 방법
 3. 접촉 난방과 문화
 4. 온돌을 통한 에너지 절약
 5. 온돌의 건강 측면의 이점
 6.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안정현(북경공업대학 건축도시학부)
  • 김준봉(북경공업대학 건축도시학부)